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과월호 > 2013년 1월호

2013년 1월호(통권 220호)
2013-6
2013-5
2013-4
2013-3
2013-2
2013-1
2012-12
2012-11
2012-10
2012-9
2012-8
2012-7
2025202420232022202120202019201820172016
2015201420132012201120102009200820072006
20052004200320022001
전시회탐방/에너지현장
 
국내 첫 에너지 자립형 공공건축물, Zero Energy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가면 국내 최초 에너지 자립형 공공건축물을 볼 수 있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건물 형상부터 독특해 시선을 끈다. 바람개비를 연상시키는데, 4면의 외벽이 사선으로 깎여 동서남...
전기인
 
지속가능한 전력산업과 스마트그리드
이번 겨울은 12월에 최대 전력 수요를 갱신하는 유례없는 일이 벌어졌다. 그만큼 우리는 기후변화의 위기 속에 살고 있고 갈수록 전력 의존도가 높아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언론들은 일찌감치 '블랙아웃'이라는 만...
 
문영현 대한전기학회 신임 회장 “사회 참여 확대로 전력산업 발전과 전기인 위상 높일 것”
올해로 창립 67년째를 맞는 사단법인 대한전기학회는 개인 1만 3288명, 단체 236개 업체가 활동 중인 전기산업 분야 학술 활동의 베이스캠프다. 연간 7종의 학술지 발간, 분야별 그리고 연구회별로 다양한 학술대회를...
특집/기획
 
[전력대란, 고효율 조명이 대안 ①] 에너지 절감 위한 조명 세대교체, LED조명 의무화·테스트베드 구축 등 기반 마련
  조명의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조명 업계는 LED조명 기술은 이제 완성 단계에 이르렀으며 현장에 적용해도 손색없다고 입을 모은다. 단 규모의 경제를 통해 높게 느껴지는 가격을 경제적인 수준으로...
 
[전력대란, 고효율 조명이 대안 ②] 조명기구의 변천과 에너지 절감 효과, LED 조명 교체 시 용도별 효율 비교할 것
자연재해로 전력수급에 큰 타격을 입어 본 일본에서는 에너지절감이 주요국책과제다. 물론 조명기구에 있어 에너지절감 또한 여기에 빠지지 않는다. 에너지 효율과 절약 효과가 탁월한 LED 조명기구 보급이 최근 급속...
 
[전력대란, 고효율 조명이 대안 ③] 사무실 조명 효율적 배치 설계, 동철식 형광램프를 직관형 LED 교체 시 40% 절감
업무시설에서 조명으로 소비하는 에너지 비중은 열원 다음으로 높다. 일본 (재)에너지절감센터에 따르면 전체 에너지소비 중 열원이 31%를 차지하고 그 다음 조명이 21%로 콘센트와 비슷한 비중으로 많은 에너지를 소...
 
[전력대란, 고효율 조명이 대안 ④] 공장, LED·메탈핼라이드 램프 교체로 에너지 절감 실현 - 생산성, 안전, 심리적 만족도 Up~
지구촌 절전 대책은 공장의 조명 설비까지 그 효과를 미치게 됐다. 공장에 사용하는 에너지 가운데 조명에 쓰는 에너지는 20%를 웃돌 정도로 꽤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래서 LED 조명과 같은 고효율 조명으로 교체...
 
[전력대란, 고효율 조명이 대안 ⑤] 경관 · 도로조명의 LED 보급 추진, 70% 에너지 절감, 스마트 제어로 추가 효과
  도로조명의 전기요금 대부분은 가로등과 터널등이 점유하고 있으며 그 비중은 약 63%다. 도로공사는 지난해 전기요금으로만 502억 원을 납부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도로시설물 증가와 전기요금 현실화 등...
전기기술
 
[유지관리의 법칙]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점검 노하우, 가동 초기 고장 발생률 높아
UPS는 과도한 전압 사용 등으로 순간 정전사태가 발생할 때 자동으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전력 사용이 많은 현대사회의 필수 장비다. 특히 요즘처럼 전력수급이 불안정한 때 UPS는 든든한 지원군이 된다....
 
[국내①] 나노 물질의 초급속 연소 합성법 개발, 에너지 저장용 기능성 나노 소재 대량 생산 가능
폴리올이라는 용매를 이용한 초급속 연소 합성법으로 차세대 에너지 저장용 나노 물질*을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기능성 나노물질 중 안정적 구조와 높은 용량을...
 
[국내②] 친환경 패치형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 개발, 신체 삽입형 의료기기 전원으로 활용 가능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김연상 교수가 주도한 융합연구팀은 용액형 무기물 압전 반도체를 이용해 반복적으로 감거나 휘는 환경에서 안정적인 압전특성을 나타내는 패치형 압전에너지 수확 소자를 최초로 개발했다...
 
[국내③] 1V 이하 기계식 나노집적 소자 세계 최초 개발, 초저전력 반도체 시대 가능성 열려
국내 연구진이 1V 이하 기계식 나노집적소자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관심을 모았다. 한국과학기술원 윤준보 교수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기계식 나노집적 소자는 전자회로에서 발생되는 누설 전류를 원천적으로 제거...
 
[해외] 태양광 발전소용 고압 케이블의 규격화와 기술
일본은 지난해 '재생 가능 에너지 고정 가격 매입 제도'를 시작했으며 태양광발전 규모도 수십 ㎿ 정도로 대규모화로 변화되고 있어 이에 따른 제반 시설의 규격이 제 · 개정되고 있다. 특히 외부 악천후에 견뎌야 ...
 
주택용 화재경보기의 기술 변천과 동향
일본에서 주택 화재로 말미암은 사망자는 전체 화재 사망자 수의 약 90%를 차지해 주택 화재에 따른 사망자 수 감소를 목적으로 소방법 개정을 통해 2011년 5월 말 신축·기존 주택의 주택용 화재경보기 설치가 의무...
 
㈜파나소닉, 탈 화석연료화에 따른 CO₂감축
파나소닉은 제품 생산과 사용 전반에 있어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다. 1990년대 들어 친환경 정책을 세워 차근차근 실천에 옮기고 있으며 환경의 중요함이 대두된 2000년 들어 그 성과가 알려져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핫뉴스
 
“스마트그리드? 잘 몰라요” 소비자 수용성 확보 방안 제기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사업 예상 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의 스마트그리드 인식이 저조하다고 나타났으며 전자파의 위해성, 프라이버시 침해 및 사이버 보안, 오작동 등 정확성을 불안 요소...
 
원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 안전성 · 환경성 · 경제성 검증과 재정비 필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그에 잇따라 정전사건 은폐, 납품 비리, 마약 복용, 다수의 고장 정지 발생, 품질검증서 위조사건 등으로 원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는 거의 땅에 떨어졌다. 설상가상으로 전력 부족 사태...
 
10분 충전, 500㎞ 이상 달리는 전기차 나온다 - 에너지 고밀도·안전함·국산화 장점인 마그네슘 전지 장착
조병원 박사는 마그네슘-공기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전극과 전지 구조를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마그네슘-공기전지 자동차 시험 주행에 성공했다.  한 번 배터리 충전으로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와...
 
중대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실증사업 추진, 100㎿급 저장 및 세계 최대 리튬이온 전지 실증
  지경부가 지난해 5월 발표한 '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 및 산업화 전략(K-ESS 2020)'의 후속 조치로 올해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총 3035억 원을 투입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실...
 
ABB, 고압 송전을 위한 DC 차단기 개발 - 신재생에너지 연계 및 장거리 전송에 신뢰 확보
[1]HVDC 밸브 홀.[2]ABB의 HVDC 그리드 시뮬레이션 센터. 새로운 하이브리드차단기 개발과 병행해 미래 DC 중첩망 운영 솔루션 개발을 위해 설립했다.[3]ABB는 약 60년 전부터 HVDC를 적용해 AC와 DC의 장벽을 허무는...
 
한전 제 19대 조환익 사장 취임 “안정적 전력 수급 그리고 ‘Again KEPCO’ 달성할 것”
김중겸 전 한전 사장의 전격 사퇴에 따라 한전은 12월 17일 새로운 사장으로 조환익 전 산업자원부 차관을 선출, 취임식을 개최했다. 조환익 신임 사장은 취임사를 통해 "한전의 핵심 가치인 안정적 전력수급에...
신제품
 
최대 10개 모듈 실시간 측정값 확인, CNX 무선 측정 시스템
   한국플루크는 다양한 측정 모듈을 무선으로 연결하고 최대 20미터 떨어진 곳의 마스터 장치로 동시에 측정값을 전송할 수 있는 테스트 도구 세트인 FlukeⓇ CNX 무선 시스템을 출시했다. 이 ...
 
5GS/s, 500M㎐의 대역폭 측정, 휴대형 오실로스코프
  한국플루크는 5GS/s의 실시간 샘플링 속도에서 500㎒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 오실로스코프 FlukeⓇ 190 시리즈II ScopeMeterⓇ를 출시했다. 최근 의료, 통신, 항공 및 군사 장비 등의 첨단 ...
 
대량 생산의 정확한 설계 검증 및 측정, 신호 분석기용 애플리케이션
  한국애질런트는 X-시리즈 신호 분석기를 위한 최신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판매에 나섰다.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통신, 무선 연결성, 디지털 영상, 우주항공, 방위산업 분야에 사용되며 X-시리즈 신...
 
터치로 원하는 색조와 강도 조절하는 컬러 LED 조명
  필립스전자는 1600만 가지의 조명 색으로 주택, 카페 등의 인테리어에 포인트를 줄 수 있는 컬러 LED 조명 '마이리빙 컬러스 블룸myLiving Colors Bloom'을 출시했다. 최근 조명은 가구나 벽지 등과 마찬...
 
초고화질 이미지로 정확한 분석, 고성능 열화상 카메라 T600-시리즈
  플리어시스템즈는 초고화질 해상도를 제공해 미세한 부분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고성능 열화상 카메라 'T600-시리즈'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640×480 픽셀의 고해상도 디텍터와 MSX(Multi Spec...
 
정전 시에 전력기기와 데이터 보호, 무정전 전원 장치(UPS)
  호주의 전력 관리 기업 이튼은 전력기기와 데이터 보호를 위한 무정전 전원 장치(UPS)인 5PX UPS, 엘립스 에코, UPS 9395 3가지 제품을 출시했다. 무정전 전원 장치는 정전 시 일정 시간 동안 전자기기에...
 
프로판가스로 전기 생산하는 자가 발전기 EU9iGP
  혼다㈜는 일반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는 프로판 가스의 연료를 전기로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 EU9iGP 제품을 개발해 판매에 나섰다. 기존에 태양광 에너지나 연료 전지 등을 이용한 제품들이 있었지만 이...
 
햇빛 걱정 없이 365일 내내 재배, LED 수경재배기
  야마젠㈜은 햇빛을 신경 쓰지 않고 식물이나 야채를 재배할 수 있는 LED 수경재배기 제품을 개발해 선보였다. LED 조명과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키울 수...
 
태양광으로 셔터 개폐, 비상시 에너지 전환 - 게이트 솔라
  삼화 시얏타㈜는 태양광을 이용해 셔터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게이트 솔라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단독주택을 위한 셔터 게이트로 상단에 126W(63W×2장)의 태양광 패널을 탑재하고 태양광 패널로 발...
자격증 시험대비
2013년 1월 전기기사 예상시험문제
 PDF서비스만 지원되는 기사입니다.(하단 좌측의 PDF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세요)서울공과전기학원 제공(02)2676-1113~5 / www.sgh.co.kr
2013년 1월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예상시험문제
PDF서비스만 지원되는 기사입니다.(하단 좌측의 PDF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세요)서울공과전기학원 제공(02)2676-1113~5 / www.sgh.co.kr
과월호 보기:
서울마포구 성산로 124, 6층(성산동,덕성빌딩)
TEL : 02-323-3162~5  |  FAX : 02-322-8386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마포 라001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마포 통신 제 180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강창대 팀장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네이버 포스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정기구독센터  |  사업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네이버 포스트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