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전 과연 안전한가, 전력난 속 원전은 아찔한 곡예 운전 중 | |
2012-03-14 | |
![]() ![]() [1] [2] 본격적인 동계 전력 수급 비상 대책 시행을 앞두고 잇따라 가동을 멈췄던 고리원전 3호기와 울진원전 1호기. [3] 고리원전을 방문한 홍석우 지경부 장관. "인재로 말미암은 발전 정지에 대해 인사 조치하겠다"라며 강경한 의지를 표명했다. 지경부에서 발표한 2024년까지 발전원별 설비 건설 계획 비중을 보면 원자력 32%(14기, 1820만㎾), 석탄 28%(15기, 1209만㎾), LNG 21%(9기, 1224만㎾)다. 특히, 원자력 발전량 비중은 48.5%에 이른다(신재생에너지 8.9%). 발전원별 건설 기간은 원자력 10년, 석탄 7년, LNG 4년이다. 우리나라 전력 수급 전망을 보면 설비 예비율은 2013년 까지 3.7∼5%에 불과하고, 2014년 이후에야 13.9∼20.4%로 안정을 찾는다. 따라서 2014년까지 전력 수요가 최대치에 달하는 여름 · 겨울마다 불안에 떨어야 한다. 전력 피크 기간 중 최대 부하 시간대에 발전량 비중이 높은 원전의 원자로가 가동을 멈추지 않기를 바라면서……. 고장 정지 원전 1위는 울진원전, 10%는 인재 김정훈 의원(한나라당)은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답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수원이 2001년 한전에서 분사한 이후부터 2011년 4월까지 발생한 원전 고장 정지 건수는 총 90건, 정지 기간은 약 426일, 판매 손실액은 약 3,491억 원에 달하며, 울진원전이 총 39건(43%)으로 고장 정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1] 2024년까지 발전원별 설비 비중을 보면 원전은 32%를 차지한다(사진은 신월성원전). [2] [3] 신고리원전 3호기 원자로 건물과 4호기 터빈 건물 공사 현장. 고장 정지 사고 90건을 원전별로 보면 울진원전 39건, 영광원전 25건, 고리원전 15건, 월성원전 11건순이었다. 원전 호기별 고장 정지 발생 현황도 울진원전 4호기 10건, 울진원전 1호기 8건, 울진원전 3호기 8건순으로 울진원전 내 발전기가 상위를 차지했다. 울진원전에서 가장 많은 고장 정지가 발생한 사유는 ▲울진 3~6호기의 제어봉 제어 설비 부품 노후화, 여자기 계통 오동작 ▲울진 1∼2호기의 발전기 고정자 권선 열화로 말미암은 고장 점유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원전에서 발생한 고장 정지사고 10건 중 1건 이상이 사전 예방이 가능한 인재였다는 점이다. 총 90건 중 인재로 일어난 고장 정지는 10건(약11%), 정지 기간은 약 24일, 전력 판매 손실액은 180억 6,900만 원이었다. 10건의 고장정지는 울진원전 5건, 고리원전 3건, 영광원전 1건, 월성원전 1건순이었다. 한편, 10건 중 6건이 협력사 직원에 의한 사고였다. * 원전이 고장 정지할 때마다 한수원은 "원자로에 이상이 없다"라고 발표한다. 하지만 환경운동연합은 "잇따른 정지 사고는 쉽게 넘어갈 사안이 아니며, 그 자체로 안전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안이다"라고 반박한다. 원자로가 갑자기 멈추면 원자로에 물리적, 전기적, 화학적, 기계적 손상과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올겨울 원전 정지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전력 예비율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원전 한 기만 멈춰도 전력 예비율이 곤두박질치기 때문이다. 원전 중심의 발전 정책을 지속하는 한 이것은 짊어지고 가야 할 멍에이자, 시한폭탄이다. ![]() ![]() < Energy News > |
|
-
서울시, 자가 발전 엘리베이터와 태양광 발전소로 11만 6000㎾h 절감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청사에 가면 특별한 것이 있다. 바로 20년생 잣나무 7500그루가 자생하고 있다는 사실. 이말에 아닌 밤중에 홍두깨를 내밀어도 유분수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도심 한가운데에 덤부렁듬쑥
2012-02-27 -
꿈의 초전도 기술을 현실로 이천변전소
1911년 네덜란드의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Heike Kamerlingh Onnes(1853~1926)는 액체 헬륨을 이용해 극저온 실험을하던 도중 신기한 현상을 발견한다. 헬륨의 액화 온도인 -268.8℃(4.2K)에서 수은의 전기 저
2012-02-23 -
분산 전원 역할 톡톡, 진정한 명품 발전소로 나아가다 _ 삼천리 광명열병합발전소
기존 전력망은 공급자 중심의 중앙 집중형에 단방향성을 띤 폐쇄적인 구조다. 그러다 보니 전쟁, 해커의 공격 등으로 전력망에 이상이 생기면 자칫 국가 전체가 암흑에 빠지는 블랙아웃 상황에 직면하기
2012-01-10 -
2011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국정감사, 지경부 산하 기관을 중심으로
9 · 15 정전 사태 막을 '정전 계약'있었다 | 정전 사태 당일, 비가동 발전기 2억 4천만 원 챙겨 | 정전 사태 책임, 핏줄 격인 한전 책임 없어 | 비정상적 전력 시장 운용, 전기위원회 폐지해야 | 보조금
2011-12-09 -
한전 자회사, 과도한 특정 업체 몰아주기 - 민간 경쟁력 방해하고 예산 낭비 초래
한전 자회사(발전 6개, 비발전 4개)가 특정 업체 몰아주기 식 특혜제공으로 민간 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방해하고, 문제 있는 전력설비 부품을 구매하는 등 예산을 낭비해 온 것으로 밝혀졌다. 감사원 공
201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