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사고 방지에 대한 인간공학적 접근 | |
2005-09-02 | |
이 원고는 일본 《電氣評論》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인재사고 방지에 대한 인간공학적 접근고소(高所) 추락 재해방지의 인간공학적 연구인재사고(이하 휴먼에러라 칭함)를 방지하기 위해 산업계에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인간공학적 대책을 강구해 왔다. 인간공학의 주요 목적이란 인간과 기계가 조화된 일체관계를 만드는 것인데 인간과 기계의 제 특성은 거의 상반되기 때문에 실현하기까지 각종 문제들이 수반된다. 인간이 기계에 비해 뛰어난 특성으로 ‘패턴 인식력’, ‘창조성’, ‘융통성’, ‘종합적 판단력’, ‘적응능력’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반대로 기계가 인간보다 뛰어난 특성은 ‘물리적 출력’, ‘연속가동성’, ‘높은 속도’, ‘피로가 없다’, ‘착오·착각이 없다’ 등을 들 수 있다.인간과 기계의 진보 정도를 보면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에서 기계의 진보는 인간과 비교할 수 없이 빠르다. 그래서 기계 측 효율을 유지하려고 하면 인간은 비상한 노력을 필요로 하고, 이를 위해 고통을 수반하기도 하며 나아가서는 사고나 질병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인간과 기계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인간을 기계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인간의 적응력에 의존시키지 않는다), 인간에게 기계를 맞춘다(인간 누구나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는 인간공학의 기본적 사상이 중요하다. 즉 인간의 형태적 특성(신체 사이즈)이나 기능적 특성(심적 기능 등)에 대해 기계 측을 적합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기능적 특성에 맞지 않는 기기나 설비 종류는 아직 많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며 앞으로 인간공학적 연구는 더욱 더 필요하다.본 고에서는 산업계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작업의 하나로 들 수 있는 건설업의 경우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특히 고소(高所)에서의 작업환경 개선에 관해 인간공학적으로 접근한 실험연구에 관해서 소개한다.고소추락재해 방지의 실험적 연구2003년 일본의 노동재해 사망자 수는 1,628명이며,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548명으로 33.7%를 점하고 있다. 또 건설업 사망재해 중에서 가장 많은 사고 형태가 추락으로 인한 재해이며 2003년에는 247명으로 약 45%를 차지해 그 비율은 최근 거의 변하지 않았다<그림1>. 즉 추락에 의한 사고 방지는 오늘날 산업안전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 ![]() ![]() ![]() ![]() < Energy News > |
|
-
인재사고에 관한 과거 대처방법과 전망
이 원고는 일본 《電氣評論》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인재사고에 관한 과거 대처방법과 전망도구에서 기계 발명으로인간의 오랜 생활사를 되돌아보면 석기시대부터 다양한 도구를 연구하며 살아가고 있다. 더구
2005-09-02 -
[특집] 변전기술의 최근 동향
특집 변전기술의 최근 동향26 변전기술의 변천과 전망32 변전기술에 관한 IT활용 동향38 변전설비 복합화, 소형화 기술동향44 분산전원기술 동향과 계통 운용상의 과제51 변전설비의 환경대책기술
2005-08-03 -
변전설비의 환경대책기술
이 원고는 일본 《電氣評論》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변전설비의 환경대책기술최근 세계적으로 지구환경보호에 관한 관심이 급속히 높아지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시작으로 세계 각국에서 각각의 대처 움직임이
2005-08-02 -
분산전원기술 동향과 계통 운용상의 과제
이 원고는 일본 《電氣評論》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분산전원기술 동향과 계통 운용상의 과제전기사업의 자유화·규제완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일본의 경우 분산형 전원의 도입이 급속하게 추진되고 있다. 지구
2005-08-02 -
변전설비 복합화·소형화 기술동향
이 원고는 일본 《電氣評論》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변전설비 복합화·소형화 기술동향최근, 변전기기로서 특히 가스절연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로 대표되는 전력용 개폐기기는 도시근교의 협
2005-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