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1주년 ③] 한국, 원전 강국의 꿈 접을 수 없어 - 성장 못잖게 분배와 안전에도 관심을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원전 보유국으로, 원자로 21기(시설 용량 18.7GW)를 가동하고 7기를 건설 중이다. 원전은 전체 전력 공급에서 약 31%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부는 2008년 8·
2012-04-09 -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1주년 ②]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세계 동향은, 2030년 세계 원전 시설 용량 현재보다 70% 증가
후쿠시마 1원전 사고 이후 원전을 운영하는 국가 중 독일은 2022년까지, 스위스는 2034년까지 원전을 폐지하겠다고 선언했으며, 나머지 대부분의 국가는 신규 원전 건설을 재검토하거나 기존 원전 정책을 그대로 유지
2012-04-09 -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1주년 ①] 일본, 원전 건설 포함 에너지 기본 계획 백지화 - 에너지 정책 원전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
일본은 1973년 1차 석유 파동 이후 부족한 에너지원을 충당하고자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매진한 결과, 미국과 프랑스 다음으로 세계 3위의 원전 보유국으로 자리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2005년 교토의정서 발효 이후
2012-04-09 -
비상 발전기 및 소방 전원 보존형 발전기의 설계와 시공 방법
비상용 발전기는 화재 안전을 위해 정직한 설계와 시공이 요구된다.비상 발전기는 화재 또는 비화재 상황에서 정전 발생 시 소방 시설과 비상 시설에 비상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 화재를 진압하거나 건축물의 기본
2012-04-04 -
[해외] 새로운 부분 방전 검출 장치 개발
일반적으로 전력 기기의 갱신 시기는 약 30년으로 권장하나, 기대 수명에 이른 기기라도 최대 한계까지 사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전력 기기는 에너지 공급원이기도 해서 사고나 고장이 발생하면 생산 정지, 지연에 직
2012-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