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④] 파워맥스, 소방 전원 우선 보존형 발전기 - 정전과 화재 동시 발생 시 진가 발휘 | |
2011-12-09 | |
![]()
![]() ![]() 우 발전기의 정격 부하를 초과하면, 정전용 차단기를 차단하는 제어기로 교체하고 과부하 시험기로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상용 전원이 정전되면, 정전용과 소방용 부하에 전원 공급 상태를 항상 유지하며, 정격 부하를 초과할 때만 비상 부하에 도달하기 전에 정전 부하 차단 기능을 확인한다(병렬 운전도 동일). ![]() ![]() ![]() 소방 전원 보존형 발전기에 대한 파워맥스의 설명이다. "수용가의 전체 부하를 일반 비상용 발전기로 하면 발전기의 용량이 커지고, 소방 부하 전용 발전기로 하면 일반 비상 부하용 발전기가 별도로 필요해 설치 대수와 면적 및 관리 개소 등이 늘어나 비용이 두 배로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일반적으로 소방 부하와 비상 부하에 발전기 전원을 동시에 투입함으로써 과부하가 발생해 자동으로 정지하며, 필수 부하인 소방 부하마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반면, '소방 전원 보존형 발전기'는 일반 비상용 발전기에 소방 전원을 우선 공급하는 시스템을 탑재해 일반적인 정전 시 비상 부하를 사용하게 하고, 화재와 함께 정전이 발생해 소방 부하와 일반 비상 부하를 모두 사용할 경우 발전기의 전원 용량을 감시한다. 이를 통해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일반 비상 부하를 차단함으로써 발전기의 비상 전원을 소방 부하에 우선 공급해 안전성을 확보한다." 파워맥스 소방 전원 보존형 발전기의 구성과 설계방법, 제어 방식은 어떻게 이뤄질까. 발전기 구성 | ▲엔진 발전기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디젤 엔진 또는 가스 엔진, 동기 발전기로 구성. ▲발전기 운전반 - 별치식과 탑재식이 있으며,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력을 수배전반을 통해 부하에 공급하는 차단기와 발전기 전력을 감시하는 장치로 구성. ▲부대품 - 배터리, 방진 스프링, 소음기, 연료 탱크 등으로 구성. ▲소방 전원 보존형 컨트롤러 - 정전과 화재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 발전기의 전원용량을 감시해 과부하에 근접하면 소방 부하를 우선 사용하도록 초과되는 일반 비상 부하를 차단시키는 신호 발생 장치. 화재가 일어나지 않는 일반적인 정전 상태에서 발생하지 않고,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일반 비상 부하의 이상 현상에 따른 과전류는 정상적으로 감시(순차 제어 방식은 확장 모듈을 추가 설치[8단계/모듈, 모듈 : 2EA까지 설치 가능]). 설계 방법 | ▲도면, 시방서, 내역서에 비상용 발전기는 '소방 전원 보존형 발전기'로 표기. ▲일괄 제어 방식과 순차 제어 방식 중 선택해 명기하며, 순차 제어 방식은 차단 횟수(제어 대상 일반 부하용 차단기 수)를 확정해 표기. ▲일괄 제어 방식의 경우 수배전반에서 일반 비상 부하를 한 차단기 아래에 한 그룹이 되도록 하며(차단기에 트립Trip 회로구성), 순차 제어 방식의 경우 제어 대상 일반 비상 부하용 차단기에 긴급성이 적은 것부터 차단 순서를 정하고 각 차단기에 트립 회로를 구성(1단계에서 8단계, 16단계까지 가능). 일괄 제어 방식 | 화재와 정전이 발생해 소방 부하와 일반 비상 부하에 발전기의 전원을 동시에 투입해 발전기 과부하가 되면, 소방 전원 보존용 컨트롤러에서 시그널Signal이 발생해 비상 부하용 주차단기를 일괄 차단해 발전기에 소방 부하만 남게 함(별치형은 일반 비상 부하 주차단기에 내장된 트립 단자와 현장 결선). 순차 제어 방식 | 화재와 정전이 발생해 소방 부하와 일반 비상 부하에 발전기 전원이 동시에 투입돼 발전기 과부하가 되면, 소방 전원 보존형 컨트롤러에서 1차 시그널이 발생해 선정된 비상 부하의 1단계 부하(일반 비상 부하 중 시급성이 가장 적은 부하)를 차단하고, 지속적인 감시 상태에서 소방 부하가 증가해 발전기가 다시 과부하가 되면 컨트롤러에서 2차 시그널이 발생해 비상 부하의 2단계 부하를 차단한다. 이런 방법으로 소방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단계별로 중요도가 낮은 순서부터 비상 부하를 순차 차단해(제어 단계 수는 8단계씩 추가 가능) 발전기가 과부하로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방 부하에 비상 전원 공급을 유지하도록 함(컨트롤러 제어용 출력 단자들과 일반 비상 부하 차단기들의 내장트립 단자와 현장 결선). ![]() 이날 과부하 위험 방지를 위한 소방 전원 보존형 발전기 시스템을 개발한 청우이엔지 이원강 대표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장 표창을 받았다. 소방방재청 소방정책국 소방산업과 관계자에 따르면 "소방 전원 보존형 발전기는 소방용 및 기타겸용 발전기에서 경제성과 과부하 위험 해소를 동시에 달성하며, 또한 용량 축소에 따른 연료 소비율저감으로 친환경성을 지니므로 수요 확대에 대한 실효성을 지닌다"면서, "본 제품을 적용하는 국내외 건축물 및 시설물에 안전성을 확보해 한국 제품은 안전한 제품이라는 인식 제고에도 큰 역할을 하며, 우선 국내 판매 전망이 매우 밝다"라고 밝혔다. 또한, "경제적으로 소방 안전성을 확보함에 따라 기존 비상용 발전기 국내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특히 기존 건축물 개선에도 유효하며, 해외 시장의 활발한 기술 수출이 기대된다"라는 말을 덧붙였다. 자료 제공 소방방재청 / 파워맥스 (031)319-6291 www.powermax.kr ![]() ![]() < Energy News > |
|
-
[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③] 비상용 자가 발전 설비의 운전 관리
일본 동북부 대지진으로 야기된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전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다. 이를 계기로 기존 원전에 대한 안전 점검이 일제히 이뤄졌으며, 각국의 원전 정책에 변화가 생겼다. 우리나라 역시
2011-12-09 -
[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②] 비상용과 상용 자가 발전 설비의 차이
수용가 측에 설치한 발전기는 크게 비상용과 상용으로 나눈다. 비상용 발전기는 상용 전원 공급이 중단됐을 때 필요한 부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용 발전기는 한전의 상용 전원 외에
2011-12-09 -
[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①] 비상 발전기의 선정과 설치, 유지 관리 - 9 · 15 정전 사태 때, 비상 발전기 60% 이상 무용지물
한전 등 전력 회사로부터 공급 받는 상용 전원이 끊길 경우 조명, 공조, 급 · 배수, 엘리베이터 등으로 말미암은 재해를 방지하기위해 <건축법>, <전기사업법>, <소방법> 등 관련 법
2011-12-08 -
[효율적인 전기 사용을 위한 에너지 저장 기술 ③] 인산형 연료전지의 도입 사례
인산형 연료전지(Phosphoric Acid Fuel Cell, 이하 PAFC)는 인산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저온형 연료전지의 하나다. 1960년대부터 미국이 개발에 나서 가장 먼저 상용화했으며, 소규모 발전소를 비롯
2011-11-04 -
[효율적인 전기 사용을 위한 에너지 저장 기술 ②] 리튬이온전지를 중심으로 이차전지 기술의 흐름
1990년대에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는, 특히 소형 전지가 휴대전화,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 폭넓게 이용된다. 최근 들어 대형 리튬이온전지의 개발도 활발해져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셀
2011-11-04
-
[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⑥] 커민스, 진보된 발전기 제어 시스템 - 단순화 법칙에서 답을 찾는다
최근 비상용 발전기 시스템은 사이즈 증가 못지않게 점점 복잡해지는 추세여서, 발전기 업체는 단 하나의 고장도 제거하고자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전력과 컨트롤 시스템 설계에
2011-12-09 -
[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⑤] ㈜이스트파워 발전기, Simple · Smart · Strong, 3S를 통한 고객 만족
고객 수요에 부합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젤 엔진 발전기 세트를 제작 공급하며, 디젤 엔진을 제외한 동체와 패널 등 전 품목을 자체적으로 설계 제작하는 ㈜이스트파워(대표이사 신성호). 발전기 부문 국
2011-12-09 -
[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③] 비상용 자가 발전 설비의 운전 관리
일본 동북부 대지진으로 야기된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전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다. 이를 계기로 기존 원전에 대한 안전 점검이 일제히 이뤄졌으며, 각국의 원전 정책에 변화가 생겼다. 우리나라 역시
2011-12-09 -
[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②] 비상용과 상용 자가 발전 설비의 차이
수용가 측에 설치한 발전기는 크게 비상용과 상용으로 나눈다. 비상용 발전기는 상용 전원 공급이 중단됐을 때 필요한 부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용 발전기는 한전의 상용 전원 외에
2011-12-09 -
[정전 사고 안전 지킴이, 비상 발전기 ①] 비상 발전기의 선정과 설치, 유지 관리 - 9 · 15 정전 사태 때, 비상 발전기 60% 이상 무용지물
한전 등 전력 회사로부터 공급 받는 상용 전원이 끊길 경우 조명, 공조, 급 · 배수, 엘리베이터 등으로 말미암은 재해를 방지하기위해 <건축법>, <전기사업법>, <소방법> 등 관련 법
201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