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솔루션 - 일본 ‘PSE’를 획득한 SPD와 지능형 피뢰 시스템
2010-07-14



㈜프라임솔루션은 국내 최초로 일본 전기용품 안정법에 의한 인증마크 'PSE'를 획득한 서지보호장치(SPD), 그리고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피뢰 시스템과
자기진단 지능형 서지보호장치(Diagnostic Counter-type SPD)를 선보였다.
'PSE'는 우리나라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전기용품 안전인증(EK 마크)과 성격이 같다. 'PSE'획득과 함께 ㈜프라임솔루션은 일본의 전력 · 통신기기 업체인 레시프(LECIP)사에 2010년 3월에만 5천 세트를 공급했으며, 추가로 2만 세트 공급할 예정이다.
㈜프라임솔루션은 Surge Protection, Power Quality, Grounding System 분야 전문제조 및 솔루션 제공업체이다. SPD, 노이즈필터, 특수피뢰침, 전해질 접지 시스템, 접지자재 일체를 설계, 생산, 제조, 시공까지 일괄하고 있다.
주력 사업 중 하나인 SPD는 낙뢰 등 강한 전자파를 흡수해 전기 · 통신기기를 보호하는 피뢰설비 중 핵심기기에 속한다. 이미 2007년 일본 통신사업자의 SPD 수주 당시 일본의 유수한 피뢰설비 업체와 경쟁에서 우위를 보여 2천 세트를 공급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박종순 ㈜프라임솔루션 대표는 2010년 PSE 획득과 수주에 대해 "2007년에 이어 자국 산업 보호 성향이 강한 일본 피뢰설비 시장에서 자사의 품질과 서비스, 기술력을 또 다시 인정받은 사례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에 수출하는 제품은 전원계통에서 유입되는 낙뢰 서지와 노이즈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기용량과 규격은 AC 110V, 100VA의 홈오피스용 제품이다. 일반적인 제품과 달리 전원 회선뿐만 아니라 전화나 인터넷 회선에서 유입되는 서지를 차단하기 위한 접속부분도 2회선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통신기기 및 장치의 회로를 보호하는 데 유용하다.
지능형 피뢰 시스템은 서지보호장치, 능동형 접지단자함(Active Grounding Terminal), 다단계 디지털 낙뢰 카운터(Multi-step Digital Lightning Counter), 관리자용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등 크게 4가지로 구성된다.

 

[1] 여중배 ㈜프라임솔루션 이사가 일본 'PSE'를 획득한 서지보호장치
(SPD)를 소개하고 있다.
[2] 김진학 ㈜프라임솔루션 과장이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지능형 피뢰 시스템과 자기진단 지능형 서지보호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자기진단 지능형 서지보호장치는 CE 인증과 한국전기안전공사 안전인증센터의 품질인증마크(V-check)를 획득한 특허 등록 제품이다. 대용량 서지차단 용량(40㎄~200㎄/mode)을 갖추고 있으며, ILPMS 호환으로 원격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특히 시스템과 연계해 모니터링 제어가 가능하고, MOV 열화 자기진단 기능에 의한 수명 예측과 서지 유입회수, 경로 추적 기능도 가진다. 능동형 접지 단자함은 실시간으로 접지저항 및 대지전압을 측정한다. 다단계 디지털 낙뢰 카운터는 광대역 낙뢰 · 서지전류 카운터로 전류의 크기와 일시, 데이터를 저장하며, 인하도선 및 주접지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프라임솔루션은 스마트그리드 대응 노이즈 대책기기 등 새로운 환경에 맞는 전력품질관련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5년 이내에 전력품질, 피뢰설비 분야 글로벌 리딩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진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해외 시장 개척에 나섰다. 박종순대표는 "해외 시장 공략에 더욱 중점을 두어 2013년 수출과 내수 판매 비중을 50 대 50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주 시장 공략을 위한 제품인증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에는 세계 최대 시장인 북미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예정이다. 박종순 대표는 "이미 현지에 방문해 사업 타당성을 현지 업체와 검토했으며, 자사의 기술력과 품질은 현지에서도 시장 경쟁력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글, 사진_백종윤 기자 <㈜프라임솔루션 (031)8007-6150 / www.primesolution.co.kr>

트윗터 페이스북

< Energy 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