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홍산업(주)] 천정조명 등기구용 배관, 배선 일체형 접속기구 | |
2005-01-25 | |
![]() 본 제품의 신기술 범위로는, 다중전선 암수전선 접속부재가 적용 가능하도록 안착구조를 제공한 천정배선 분기장치와, 암수전선 접속부재와 배관, 배선, 결선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제공 및 전선 인출수단의 제공으로 일체형 노출 가변 공법을 실현하는 데 있다. 1. 신규성 본 발명 기술은 건물배선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내부배선을 고정형으로 시공하지 않고 가변기능의 노출배선을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제공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접속가능한 분기수단을 갖춘 배관, 배선, 결선기능이 일체형으로 구조되어 접속구의 체결만으로 시공되는 공법을 이루고자 하는 것으로 가. 건물의 천정내부 가변형 노출배선 공법의 제공 건물내부의 용도와 구조변경에 대응하기 위해 전원 공급용 리셉터클, 등 기구용 다기능 천정배선 분기장치를 이용하여 각 전등 및 전열 콘센트와 감지기등으로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입선작업과 분기접속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건물의 천정내부배선구조를 제공한다. 나. 일체형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외함의 제공 전선과 가요전선관 및 분기박스까지 일체로 조립 가능한 외함의 개발로 전선과 플러그, 전선관 다기능 분기박스로부터의 전선인출수단을 가능하게 해 체결만으로 배관, 배선공사가 완료되게 했다. 다. 자석을 이용한 등기구 고정 천정배선 분기장치 하부에 구성된 자석에 의해 등기구에 안착되고, 이설에 따른 가변능력을 갖는다. 2. 진보성 기존의 접속 기구들은 단순 플러그, 리셉터클 결합분리 기능을 갖고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내구성에 취약점이 있었으며, 전선이나 전선관만을 연결하는 단일기능만 갖고 있어 현장에서 가공과 조립이 불가피했고, 분기수단의 한계로 인하여 가변성에 여러 가지 제약이 존재하였으나 본 공법기술의 발명을 통해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다음의 진보성을 이루었다 할 수 있다. 가. 조립공법의 실현 기존의 접속기구들은 전선 접속구나 전선관 접속구등으로 분리된 단일 기능만 갖추고 있어 배관과 배선 및 접속 기구를 동시에 조립할 수 있었으나 본 기술에서 제공하는 외함의 구조는 전선을 접속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가요전선관을 일체로 조립되게 하여 배선공사에서 조립공법을 실현했다. 나. 외함 제공을 통한 내구성, 내충격성 확보 외함의 제공을 통하여 커넥터 하우징 블럭이 외함에 체결된 상태에서 전후로 분리되거나 상, 하, 좌우로 흔들림이 없어 충전부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된 구조로 제공되어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켰다. 다. 잠금, 해제 구조의 제공 기존의 커넥터 방식들은 단순접속기능 또는 걸림턱을 이용한 단순걸림 구조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나 스프링을 이용한 잠금, 해제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전기적 접속능력과 안전성을 극대화시켰다. 라. 다기능 분기수단(최대 5방향)의 제공 암합부재를 내설한 리셉터클을 통한 분기수단의 구성은 수평 최대 3방향으로의 구성에 제약이 존재하였으나, 천정배선 분기장치의 제공을 통하여 4방향 수평분기는 물론 하방의 접속기능까지 제공함으로서 가변능력에서 더욱 진보성을 제공했다. 3.현장 적용성 본 공법기술은 다양한 제품 대응력과 우수성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현장 적용성을 가지고 있다. 가. 경제성 배관, 배선, 결선이 등 기구 시설과 동시에 단일공정으로 시공되고, 수직 배선이 제거되어 배선거리가 단축되므로 공사비가 절감(약15~36%)되며, 회로설계가 간단하고, 설계변경 작업이 이루어진 후 투입되므로 설계변경에 따른 공사비 추가요인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타 공종(건축, 설비)에 간섭 없이 독립공정으로 운영되므로 효율적인 인원관리와 공정관리로 직·간접비용을 절감한다. 나. 시공성 및 편이성 제조공장에서 배관의 가공, 입선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공정이 간소화되고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됨은 물론 등기구 설치시점과 동시에 시설되어 배치 및 체결 작업만으로 배관, 배선, 결선 작업이 완료됨으로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석을 이용한 설치공법으로 탈 부착이 용이하여 사후관리에 편이성도 도모했다. 다. 안전성 고소작업 공정이 제거되어 작업여건의 안전성이 개선되었고 품질보증체계의 생산을 통한 표준화된 제품의 공급으로 시공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라. 환경 친화성 신축시 설계 기준에 의한 표준제품의 공급으로 불요불급 자재에 따른 산업폐기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리모델링이나 레이아웃 변경시에도 폐자재 없이 기존 제품이 100% 재사용되므로 환경 친화적이다. 마. 사후관리성 및 가변성 회로의 수정 변경시 접속구의 분리 체결만으로 레이아웃 변경에 대응하며, 최대 구성회로(6선4회로)를 활용하여 뛰어난 가변능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국내·외 전력시설물에 대한 활용전망 ![]() 건축 현장의 배관, 배선 공사의 현실이 열악한 작업공정과 불안한 작업환경 그리고 경제성이 저하된 공정 특성을 이유로 인력 수급에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향후에 이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획기적인 대안으로 선택되어 시공의 간편성과 품질의 우수성 등을 이미 인정받은 바 있으며, 콘크리트 슬라브내 배관이 필요 없게 되어 건축의 구조가 강화되고 타 공종(건축, 설비)과 상호 간섭 없이 시공되므로 공정관리가 용이하며 제조품질이 현장에 직접 반영되므로 공사의 품질수준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출가변 특성으로 내진설계에도 매우 유리한 공법기술이므로 향후 활용 전망의 기대가 매우 밝고, 적용분야도 지속적인 확대가 불가피하다. 또한 특화된 기술로써 현재까지 백수십여 개 현장에서 본 공법을 채택하여 실용화하고 있으며 기술 실용화 공적으로 산업자원부로부터 포상을 수상했으며, 정부 조달청에서 ‘우수제품’으로 인정, 기술표준원에서 ‘우수품질마크(EM)’로 품질을 인증받았고 본 공법기술에 따른 꾸준한 투자와 노력으로 제반 기술에 필요한 산업재산권도 확보한 상황이다 . ![]() ![]() < Energy News > |
|
-
[일진전기(주)] 트래킹 억제형 수밀 알루미늄 피복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
트래킹 억제형 수밀 알루미늄 피복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일진전기(주) 전력신기술제도는 고부가가치 산업인 전력산업과 전력분야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해 전력기술 발전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정부와 연구기관
2005-01-25 -
초전도 순저보상 SMES의 개발
이 원고는 일본 《電氣現場技術》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 초전도 순저보상 SMES의 개발 츄우후전력주식회사(中部電力株式會社)_나가야 시게오(長屋 重夫) SMES란(원리와 특징) 초전도 현상
2005-01-25 -
초전도양자 간섭소자를 활용한 비파괴검사기술에서의 ‘이동형 SQUID’ 개발
이 원고는 일본 《電氣現場技術》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 초전도양자 간섭소자를 활용한 비파괴검사기술에서의 ‘이동형 SQUID’ 개발 도호쿠전력(東北電力)_이사와 카즈유키(井澤 和幸) ,타카
2005-01-25 -
저압절연 감시시스템 개발
이 원고는 일본 《電氣現場技術》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저압절연 감시시스템 개발히다치산업시스템(日立産業システム)_타카카모 나오히로(高鴨 直大)전기설비의 보전은 이른바 현장에서 시행되는데, 설비의 점
2005-01-25 -
염화물 응력 부식 균열 내용 도료 ‘SCC 셔트’의 개발
이 원고는 일본 《電氣現場技術》誌에서 번역 전재한 것입니다. 염화물 응력 부식 균열 내용 도료 ‘SCC 셔트’의 개발 시코쿠종합연구소(四國綜合硏究所)_니시모리 슈지(西森 修次) / 타츠미 타다시(多積
200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