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 만년필처럼 멋스럽게 납땜하는‘ 솔디(Soldi)’ 메이커 문화 앞당길 일상 속 문구형 납땜기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 만년필처럼 멋스럽게 디자인한 문구형 납땜기 ‘솔디(Soldi)’를 출시했다. 납땜하는 것을 마치 펜으로 종이에 글을 쓰는 것처럼 일상 속에서 부담 없이 즐 기는 행위로 탈바꿈시켰다.
이 제품은 3D프린터의 발달 등으로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것 을 만들어 쓰는 메이커 문화(Maker Culture)가 꾸준히 확산되 고 있는 가운데 지금까지 전문가의 도구로만 생각했던 것들 을 문구처럼 일상화하는 작업으로 만들었다. 메이커 문화의 확산과 함께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는 도구를 공급하는 산업 도 계속 성장세다.
솔디는 복잡하고 딱딱하게 느껴지던 납땜을 일상 속으로 가 까이 가져오면서, 책상 위 인테리어를 도울 수 있는 제품이라 는 점을 인정받아 세계 무대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9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인 독일 레드닷 어워드 (Red Dot Award)에서 본상을 수상했으며, 일본 굿 디자인 어 워드에서 수상해 ‘지 마크(G Mark)’를 부여받았다. 11월에는 두바이 디자인 위크에 초청받아 전시하게 된다.
솔디가 선보인 만년필형 디자인은 어떤 가구 위에서도 스타 일리쉬한 작업 공간을 만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납땜기라는 속성에도 불구하고 가정 생활공간 어디에나 어울리는 데스 크 오브제로 활용이 가능하다.
솔디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펜 형태의 ‘인두’, 연필 꽂이 모양의 ‘스테이션’ 그리고 종이를 형상화한 ‘플레이트’다. 인두를 스테이션에 있는 자석 커넥터에 거치하면 열이 발생 하는데, 20초 정도 지나면 작업 가능한 온도(420°C)가 된다. 한 번 달궈진 인두로는 약 5분간 납땜을 진행할 수 있다.
무선 인두를 적용한 솔디는 순간적으로 납땜을 하고, 빈번하 게 거치대에 놓는 납땜 작업의 패턴을 반영해 사용자의 경험 을 개선했다. 또한 인두에 열을 전달하는 스테이션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돼 있다. 즉, 스테이션만 충전되어 있으 면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배터리는 충전 없이 최대 6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Energy News>
http://www.energ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