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교육연구소, 제2차 태양광 연계 ESS 사업전략과 수익창출 방안 세미나 개최
 산업교육연구소(소장 김성의)는 2월 21일(화) 서울 여의도 한국화재보험협회 1층 강당에서 ‘제2차 태양광 연계 *ESS 사업전략과 수익창출 방안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ESS: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주는 저장장치
세미나에서는 태양광+ESS 연계 국내의 제반현황 및 R&D사업계획, 태양광+ESS 연계 설비 및 전력산정 기준 등 세부규정부터 관련 신규사업 및 해외진출 사례와 수익창출 방안을 비롯해 태양광+ESS 활성화를 위한 최근의 기술개발 동향과 기대효과, 프로슈머 신규사업에 이르기까지 태양광+ESS의 제반정보를 심도있게 논의하게 된다.
지난해 연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영환)가 태양광 연계 ESS 사업과 관련하여 올해부터 내년까지 설비를 설치한 발전소에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 5.0을 적용한다고 고시한 후 그동안의 주파수(FR) 조정용 시장이나 풍력발전 연계 ESS 시장과는 확연히 다르게 태양광 발전사업자 및 배터리 제조사, 관련 금융사 등에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2월 14일(화)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용 금융지원 프로그램 추진을 위한 ‘신한은행-신용보증기금-에너지공단 간 업무협약식’을 개최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에 투자하는 중소/중견기업의 금융부담 경감을 위해 국내 최초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용금융상품 ‘ESS 플러스 협약보증 대출’을 출시했다.
산업교육연구소는 태양광+ESS는 우리나라 내수시장을 육성하고 우리기업 경쟁력 향상뿐만 아니라,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이번 세미나를 통해 태양광+ESS 사업의 유용한 제반 정보를 공유하고, 아울러 새로운 사업기회를 모색하는 데 소중한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더 자세한 사항은 행사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문의하면 되며, 이날 발표될 주제 및 발표자는 다음과 같다.
◇ESS 육성정책/태양광+ESS 연계 국내·외 현황 및 R&D 사업계획과 해외진출 지원 방안 발표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최윤석 ESS PD
◇태양광+ESS 연계 설비 및 전력산정 기준 등 세부규정 내용소개와 사업전략-효과적인 ESS 적용용량-설치방법-시설비용 발표자: LG전자(주) 이승혁 팀장
◇태양광+ESS 연계 신규사업 및 해외진출 사례와 수익창출 방안 발표자: (주)이맥스파워 배성용 대표 (前.삼성SDI)
◇태양광+ESS 연계 신규사업을 위한 정책자금 융자지원 제도와 활용방안 발표자: 한국에너지공단 서선기 부장
◇태양광+ESS 연계 시장 활성화를 위한 ESS+인버터+수배전반+변압기를 결합한 교류(AC) 배터리시스템 기술개발현황과 향후전망 및 기대효과 발표자: 데스틴파워(주) 오성진 대표
◇태양광+ESS 연계 시장 활성화를 위한 ESS 통합 솔루션(리튬인산철배터리시스템+BMS+PCS+PMS+EMS) 기술개발현황과 향후전망 및 기대효과 발표자: 현진이앤에스(주) 채수원 차장
◇태양광+ESS 연계 적용시 성능평가 및 인증기술과 표준화방향 발표자: (재)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김미성 수석연구원
◇태양광+ESS 연계 적용시 전기품질 기준 및 해결과제 발표자: (주)재신정보 한정규 대표
◇태양광+ESS 연계 시장 활성화를 위한 프로슈머 신규산업과 최적운영기술 발표자: 서강대학교 김홍석 교수
출처: 산업교육연구소 * 웹사이트: http://www.kiei.com
<Energy News>
http://www.energ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