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국내 유일 자립형 유지 관리 단지 태기산풍력발전
2013-01-03 오후 12:35:30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과 청일면, 평창군 봉평면, 홍천군 서석면의 경계에 위치한 태기산. 해발 1261m로 횡성군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태기산은 본래 덕고산德高山으로 불렸으나 삼한시대 진한의 마지막 왕인 태기왕이 이곳에 성을 쌓고 신라에 대항해 싸우던 곳이라 해 태기산泰岐山으로 명명하게 됐다.
둔내 나들목에서 멀리 보이는 여러 개의 블레이드를 등대 삼아 구불구불한 고갯길을 오르면 둔내 11경이라 일컫는 끝없이 펼쳐진 태백산맥의 웅장함과 첫눈이 연출하는 아름다운 설경 속에 서게 된다. 그리고 산맥의 기백을 물려받기라도 한 듯 당당하게 솟은 20기의 발전기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무한 청정에너지인 바람을 이용, 풍력 터빈에서 회전력으로 전환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은 CO2를 배출하지 않아 지구온난화 방지에 공헌한다. 태기산풍력발전은 풍력발전기 평균 이용률이 26%일 경우 연간 9만 8300㎿h로 횡성 · 평창군 지역 2만 5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하며, CO2 발생량을 연간 6만t 감축한다. 한우의 고장이자 한 폭의 그림 같은 설경으로 관광객의 발길도 잦은 태기산풍력발전을 소개한다.

정리 · 사진 유미희 기자 취재 협조 ㈜태기산풍력발전 033-343-5400

㈜태기산풍력발전은 2005년 4월 강원도 횡성군과 평창군, 국내 기업인 포스코건설 그리고 일본 최대 풍력 개발 회사인 유러스에너지홀딩스와 MOU를 체결한 후 기술 타당성 조사, 경제성 분석과 금융 분석을 완료, SPC(특수목적법인)로 설립했다. 포스코건설과 유러스에너지홀딩스는 각각 50%씩 지분을 투자했으며 주민사업 설명회, 발전사업 허가, 사전 환경성 검토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2008년 11월 본격적인 상업 운전에 들어갔다. 태기산풍력발전은 세계 최대 풍력발전기 생산 업체 덴마크의 베스타스Vestas 풍력기를 구축, 타워 높이80m, 날개 길이 40m, 설비 용량 40㎿(2㎿×20기)의 대규모 단지다.
태기산 고지에서 부는 바람으로 만들어낸 전력은 단지 내를 포함해 28㎞ 거리의 평창 변전소까지 22.9㎸로 송전한다. 태기산풍력 단지는 사업 추진 초기부터 인허가 문제로 프로젝트 지연이나 민원이 거의 없었다. 민가와 3㎞ 이상 떨어진 지역적 특성 덕분이다. 아울러 주변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설계와 공법을 적용해 모범 풍력발전소 건설 사례로 꼽힌다.

국내 유일 자립형 유지 관리
태기산풍력발전의 특징은 독자적으로 유지 관리(Maintenance)를 수행한다. 보통 풍력 단지는 자체진단, 사전 진단, 사후 정비 등에 있어 시스템 공급업체와 유지 보수에 관한 계약 체결이 불가피하다.
그런데 태기산풍력발전은 2년 전 베스타스와 맺은 유지 보수 계약을 끊고 직접 업무를 수행 중이다. 시스템의 자체 진단은 물론 사전 진단을 직원 6명이 처리하고 있다. 전문적 진단 및 처리가 필요한 경우 전문 업체에 의뢰함으로써 유지 관리 및 전문 인력채용에 따른 높은 인건비 절감 등 상당 부분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얻었다.
국외 풍력발전기 시스템 개발 회사들도 자체적으로 유지 관리를 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고 있으며 대체로 고비용의 유지 관리 계약을 하는 상황에서 태기산풍력발전은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지난해 한국전기안전공사가 필리핀 정부 에너지부 공무원과 전기 기술자들을 초청한 행사에서 태기산풍력발전 직원들이 기술을 전수하기도 했다. 전기안전공사는 2010년 필리핀 정부와 전기안전 기술협력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우리 실정에 맞는 스카다 시스템 필요
태기산풍력발전은 스카다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원격 감시 제어)를 통해 발전 · 송배전 등 원격지 시설 장치를 중앙 집중식으로 감시 제어한다. 스카다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원격 장치의 경보 상태에 따라 미리 규정된 동작 감시 시스템의 기능인 경보 기능 ▲원격 외부장치를 선택적으로 수동, 자동 또는 수 · 자동 복합으로 동작하는 제어 기능 ▲원격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 표시 · 기록하는 지시 · 표시 기능 ▲디지털 펄스 정보를 수신, 합산해 표시 · 기록이다.
그런데 발전소 측은 이 원격 제어 시스템에 약간의 아쉬움을 느낀다. 시스템 공급 업체가 설정 단계부터 상업적인 목적으로 복잡하게 개발해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결국 해당 업체에 위탁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 아울러 국내에 설치한 풍력설비는 대부분 외국 제품으로 제작사의 기술 이전 기피로 정비 기술 자립에 한계가 있다. 국내 기술로 직접 자발적 유지 보수 운용 중인 태기산풍력발전 측은 "우리 실정에 맞는 스카다 시스템을 개발한다면 지금보다 효과적인 운영 실적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

태기산은 온도 차가 심해 겨울만 되면 블레이드에 결빙 현상이 생긴다. 운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지난달에 블레이드 코팅 작업을 마무리했다. 아울러 전력량이 증가하는 여름과 겨울을 대비해 한 해 두번, 상반기 하반기로 나눠 일괄 정비를 실시하고, 현재 하반기 레귤러 서비스Regular Service를 실시 중이다.

[1][2] 해발 980m의 태기산 정상 입구. 표지판을 따라 해발 1261m 정상에 오르면
풍력기와 설경이 펼쳐진 황홀한 광경을 볼 수 있다. [3] 태기산 등선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 풍력기. [4] 정상으로 향하는 길에 위치한 사무실. 생산된 전력을 이곳에
모아 송전선을 따라 평창 변전소로 보낸다. 이곳에서 풍력기의 소모품도 관리한다.
[5] 겨울철 블레이드 결빙 방지 코팅 작업을 위해 블레이드까지 올라가는
첨단 시설물을 이용한다. 사진제공 ㈜태기산풍력발전

태기산풍력발전이 소재한 횡성군은 태기산풍력발전을 포함해 법주리 태양광발전소, 그린홈 21호(태양광발전 시스템) 보급, 농어촌 버스 LED노선 번호판 설치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군청사를 재건축이 아닌 리모델링을 통한 친환경 청사로 전환시키는 등 친환경 정책을 높게 평가받아 2009년 에너지 시책 추진 평가에서 우수지자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신재생에너지 개발 · 보급 및 지구온난화 방지에 솔선수범을 보이는 횡성과 더불어 국내 유일 자립형 유지 관리 단지인 태기산풍력발전의 발전이 기대된다.

<Energy News>
http://www.energy.co.kr

서울마포구 성산로 124, 6층(성산동,덕성빌딩)
TEL : 02-323-3162~5  |  FAX : 02-322-8386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마포 라001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마포 통신 제 180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강창대 팀장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네이버 포스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정기구독센터  |  사업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네이버 포스트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