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제품의 전원을 껐다 할지라도 전원코드가 여전히 플러그에 꽂혀 있다면 전력은 계속해서 소비된다(<표1> 참조). 최근 이러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대기전력 저감형 전기콘센트'에 대한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이수원)에 따르면 전기콘센트 관련 전체 특허출원은 2009년 208건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나, 대기전력 저감형 전기콘센트 관련 특허출원은 59건으로 오히려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또한 올해에는 4월까지 출원된 것만도 28건이나 돼 전년 동기 대비 180% 이상 출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표2> 참조). 2008년까지만해도 대기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전기콘센트 특허출원은 전기콘센트 관련 특허출원 전체의 약 15%에 불과했으나 2009년에는 28%, 올해는 35%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올해부터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20세대 이상 모든 공동주택에는 대기전력 차단장치 설치가 의무화 됐으며,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대기전력 경고 표시 대상품목도 12개로 확대됐다. 게다가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이 4월부터 본격 시행, 에너지절약 기술에 대한 정부지원이 확대되고 있어 대기전력차단제품에 대한 시장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에 출원된 대기전력 저감형 전기콘센트에 채택된 기술은 ▲ 내·외부 신호 제어에 따른 차단(34%) ▲ 슬라이딩, 회전, 또는 자석을 이용하는 기계적 방식(28%) ▲ 전원출력 또는 접점 탈착감지(22%) ▲ 인체의 열 또는 소리를 감지해 차단하는 방식(16%) 등이 있다. 출원인별 현황을 보면 최근 5년간 개인 75%, 중소기업 23%, 대기업 2%를 차지해 개인과 중소기업에 의한 출원이 압도적으로 많음을 알 수 있다.
<자료제공: 특허청>
<Energy News>
http://www.energ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