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한전의 중소기업 지원 현황 및 향후 계획
2008-10-01 오후 11:51:00
한전의 중소기업 지원 현황 및 향후 계획한국전력공사 물류경영처 중소기업지원팀_백상준 과장(02)3456-4422 / white100@kepco.co.kr지원 배경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는 일자리의 90%를 차지하고 국가 경제 성장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난 93년부터 공기업으로는 최초로 중소기업 지원 사업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에 근거한 한전의 중소기업 지원 사업은 전력산업 분야 중소기업 육성은 물론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 및 기업 국제 경쟁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지난 2006~2007년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정부평가에서 28개 공공기관 중 2년 연속 최우수 성적을 달성했으며, 지난 5월에는 중소기업지원 우수기관으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는 등 커다란 성과를 이룩했다.한전 중소기업 지원 사업 특징 1. 성장단계별 맞춤형 상생협력 시스템 구축 창업 → 기술 개발 → 제품 생산 → 기업 경영→ 판로 개척 등 중소기업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고객의 실질적인 니즈를 충족시켜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시킨다.(<그림1> 참조)

[그림 1] 성장단계별 지원시스템2. 한전 브랜드 파워(Brand Power)를 이용한 대·중소기업 해외시장 동반 진출국내 전력시장의 성장 한계와 한미 FTA 등 급변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이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신(新)성장 동력을 찾아 적극적으로 해외 시장개척에 눈을 돌려야 한다.한전은 낮은 브랜드 인지도와 정보 부족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지난 2006년부터 KEPCO 브랜드 파워를 활용한 동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또한 한전 해외지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 관련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공조를 통해 동반 중소기업의 수출 실적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3. 중소기업 지원 통합 시스템 구축 및 활용중소기업 지원 사업의 전산화 및 통합적 관리가 가능한 중소기업 지원 통합 시스템(Siss :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ntegrated Supporting System) 구축을 위해, 지난 2006년 3월에서 12월까지 시스템 1차 개발을 추진하여 2007년 1월부터기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그 후 2차 고도화 작업을 통해 지원 사업 전산서비스를 확대하고 1만 9천여 개 기업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대량 메일 발송과 같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구축 등 시스템 고도화 작업을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한편 2007년 10월부터 2008년 2월까지는 한전의 통합 시스템 개발 노하우를 활용하여 전력그룹사 중소기업 지원 통합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2008년 3월 28일 한전 통합 시스템과의 성공적인 상호 연계작업을 통해 전력그룹사 차원의 통합 중소기업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한 지원 사업을 전개할 수 있게 됐다.(<그림 2> 참조)

[그림 2] 중소기업 지원 통합 시스템 구성중소기업 지원 주요 현황 1. 협력연구개발사업협력연구개발사업은 대표적인 한전의 중소기업 지원 사업으로, 전력산업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 자생력 배양을 통한 우수 전력기자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개발비의 75% 이내/5억 원까지 무상 지원하고 있으며, 협력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신제품에 대한 한전의 구매를 확대함으로써 국내외 판매 실적이 급증하고 있다.한전의 적극적인 R&D지원은 연구 개발 참여 중소기업의 전력기자재 제조 기술력 향상을 통한 자생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뿐 아니라, 우수 기자재 납품을 통한 전력품질 향상으로 연결돼 한전과 협력 중소기업 간 상호 윈윈(Win-Win)하는 상생협력의 대표적인 성공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2. 해외시장 개척 지원 한전은 중소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매년 해외 시장 개척과 국제 전시회 출품 사업을 지원한다. 이러한 지원 노력을 통해 지난 2007년도에는 365만 달러의 수출 계약 실적을 달성하는 등 협력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함은 물론 우리나라 무역수지 개선에도 한몫했다.

[그림 3] 2007년 두바이 국제전시회3. 정보화 기술 개발 지원정보화 기술 개발 지원 사업은 경영·생산관리 업무 등을 전산시스템화하여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경영 효율을 제고시키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기업 규모에 따라 ERP(전사적 자원 관리), EP(기업 포털), ASP(맞춤형 IT서비스) 등으로 특화한 전산화 시스템 구축을 지원함으로써 협력업체의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한다.4. 품질경쟁력 강화 지원한전은 중소기업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시공 품질을 향상시켜 경쟁력 강화와 전력 공급의 신뢰도를 증진하기 위해, 전력기자재를 제조·생산하는 중소업체 및 전기공사업체를 대상으로 ISO 9001, 14001시리즈와 해외 규격인증 획득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여 품질관리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토록 유도한다.또한 중소기업의 Single PPM 품질 혁신 운동 강화를 위해 배전기자재 부문 지원에서 송변전 부문까지 확대, 배전품질 등급제와 연계한 체계적 지원 사업 추진과 함께 Single PPM 품질 인증 기업 배출 확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2010년까지의 중단기 로드맵을 설정했다.5. 중소기업 제품 공공구매 확대한전은 협력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생산 제품 판로 확보를 위한 전력그룹사 차원의 공공구매 목표 할당제 시행, 연구 개발 제품에 대한 활용 촉진 노력, 국내외 홍보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홍보 활동, 전력그룹사 차원의 공공구매 지원협의회 개최 등 다각적인 지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2007년도에는 중소기업 제품 법정의무비율(전체 구매액의 50%)을 크게 초과하는 75%의 중소기업 제품 구매 실적을 달성했으며, 공공구매 및 중기 지원 부문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6. 혁신형 전력 벤처기업 발굴 및 육성한전은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 정책에 적극 동참하고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 지원 강화를 통한 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1998년부터 격년으로 혁신형 전력 벤처기업 선정 및 다양한 지원을 통한 적극적인 육성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2007년에도 제7기 혁신형 전력 벤처기업으로 선정된 37개 사(인증 기간 : 1997년 4월~2009년 3월)에서 연구 개발, 해외 마케팅, 홍보 지원 사업 우대 및 물품입찰 적격심사 시 가점 부여 등 다양한 분야에 지원했다.향후 계획 공공부문 상생협력을 이끌어온 한전은 향후에도 협력 중소기업과의 실질적인 상생협력이 달성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전개할 예정이다. 그 방법으로 첫째, 중소기업 지원 사업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지원 효과가 큰 사업(Single PPM 품질혁신활동 지원 확대, NEP 및 NET인증 지원 제도 신규 도입 등)에 대해서는 지원을 확대 및 강화하고, 효과가 미비한 사업(PL지원 등)에 대해서는 지원을 축소하거나 폐지할 예정이다. 이로써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여 상생협력의 내실화를 도모할 것이다. 둘째, 주요 국가 간 FTA 협상 타결 등 심화되는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향후에도 KEPCO Brand Power를 활용한 대·중소기업 동반 해외 진출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며, 이러한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중소기업의 신(新)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셋째, 한전은 2005년 공기업 최초로 성과공유제를 시행한 이래 원가 절감, 품질 개선, 자재 적기 조달, 신개발 공법 성과 공유제 등 다양한 한전 고유의 성과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공공부문에 있어서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향후에도 한전 고유의 성과공유 모델들이 안정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전개할 예정이다.아울러 전력그룹사 중소기업 지원 통합 시스템 본격 활용, 권역별 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 등 전사적 중소기업 지원 마인드 확산과 연구비 집행 카드제 도입(일명 ‘성공카드제’) 등 지원 사업의 투명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전개하여, 한전의 중소기업 지원 사업이 더욱 더 광범위하고 안정적인 기반 위에서 지속적으로 전개되도록 여건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백상준(白尙埈)2006~2007.2 한국전력공사 삼척지점 총무과장. 현재 한국전력공사 중소기업지원팀 과장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계획(中小企業技術革新促進法)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계획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촉진에 관한 시책을 수립·추진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2001. 5. 24, 법률 제6482호)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기반을 확충하고 관련시책을 수립·추진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하여 국가경제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계획은 5장 30조와 부칙으로 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는 정부의 시책에 따라 관할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당해 구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시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다. ·공공연구기관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극 노력해야 한다. 중소기업청장은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중소기업청에 중소기업기술혁신추진위원회를 둔다. 중소기업청장은 중소기업기술진흥전문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중소기업청장은 중소기업기술통계를 작성해야 하며, 기술혁신촉진지원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중소기업청장은 기술혁신능력을 보유한 중소기업자가 단독 또는 공동으로 수행하는 기술혁신사업과 기술지도사업에 출연할 수 있다. 중소기업청장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제에 대한 사업타당성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중앙행정기관, 정부투자기관 및 정부출자기관의 장은 매년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지원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한다. ·중소기업청장은 기술혁신성과 등을 사업화하는 중소기업자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Energy News>
http://www.energy.co.kr

서울마포구 성산로 124, 6층(성산동,덕성빌딩)
TEL : 02-323-3162~5  |  FAX : 02-322-8386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마포 라001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마포 통신 제 180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강창대 팀장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네이버 포스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정기구독센터  |  사업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네이버 포스트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