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IT를 활용한 재해대책 시스템
2006-10-02 오전 9:04:00
서론현대사회에서 전력은 빠질 수 없는 중요 인프라이고 지진과 풍수해 등으로 공급지장이 발생한 경우는 신속하게 복구시킬 필요가 있다. 당사에서도 재해에 강한 설비를 구축함과 함께 재해발생 시에는 본점과 지점에 비상재해대책 본부를 설치하고, 정보수집과 대책지시에 대응해왔다.한편 IT 진전으로 대용량 데이터의 처리와 시스템간의 안전한 연계가 용이해졌다. 당사는 이것을 활용한 정보공유 시스템과 지도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일상업무는 물론이고 비상재해시의 정보수집과 복구지원에도 활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시스템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제어계 시스템 정보의 공유당사의 전력유통설비의 감시제어에는 급전자동화 시스템, 발변전소의 감시제어 시스템,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구입하고 있다(이하,‘제어계 시스템’이라 한다.). 제어계 시스템은 고도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전용의 제어용계산기, 통신회선 및 단말을 사용하여, 전문사원 이외 조작할 수 없게 되어있다.한편 특히 비상재해시에는 사고정보 등을 비상재해대책본부와 설비관리부문 등 많은 사원이 신속하기 공유하는 것이 필요해진다.따라서 당사에서는 각종제어계 시스템에서 일부 정보를 부문 인트라넷에 주고받아 부문내에서 공유하고 있다. 게다가 그 가운데 일부 정보에 대해서는 모든 회사의 일반업무용 네트워크(WING : Wide area Information Network for Groupwork)와 연계하는 타부문에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주요 시스템에 대해 이하에 서술한다.1. 계통정보배신 시스템(1) 개요계통정보배신 시스템 (이하‘본시스템’이라고 한다)은 제어계 시스템에서 얻은 사고정보와 기상정보제공회사에서 기상정보를 계통운용부문 및 관계개소에 신속하게 배신하는 시스템이다.(2) 시스템 구성본 시스템 구성은 <그림 1> 그대로 이다. 중앙급전지령소, 지점급전지령소 및 제어소의 제어계 시스템에서 정보를 배신하는 WWW서버, 각계통운용부문에 설치된 WWW단말, 이것을 접속하는 네트워크부터 된다. 또 기상정보제공 회사에서 기상정보를 배신하는 기상정보 시스템에도 접속하고 있다.게다가 관계개소의 정보배신을 위해 설치한 기상 웹서버와 사무용연게 서버에 의해, WING네트워크를 낀 관계개소의 정보배신을 행하고 있다.

(3) 주된 기능(ⅰ) 사고정보사고정보는 제어계 시스템에서 자동작성하고, 운용책임자가 확인후 본 시스템에 수동송신한다. 게다가 WWW단말에서 알기쉬운 계통계의 첨부 등의 처리와 배신승인을 행한 후, 관계개소에 배신할 수 있다(<그림 2>).사고정보가 배신된 경우 각계통운용부문의 WWW단말에는 알람이 큰소리를 내며 움직여 정보확인을 재촉한다. 또 관계개소의 WING단말에는 화면에 텔롭이 흘러 일제 통보를 한다.

(ⅱ) 순시전압저하정보순시전압저하정보는 제어계 시스템이 자동작성하여 본 시스템에 자동송신, WWW단말에서 내용의 재확인을 한 후, 관계개소로 배신된다. 순시전압저하정보가 배신된 경우, 사고정보같이 WWW단말의 알람 경보와 WING단말에 텔롭표시를 한다.(ⅲ) 기상정보WWW단말에서 기상정보 시스템에 액세스함에 따라 기상정보(아메다스, 전기도, 경보·주의보 등)를 취득할 수 있다. 또 관계개소에서는 WING단말을 이용하여 기상 웹 서버에 액세스한다.또한 경보·주의보와 지진, 뇌 등 긴급을 요하는 정보는 WWW단말의 알람 경보와 WING단말로 텔롭 표시를 한다.(4) 특징사고정보와 순시전압저하정보는 제어계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사용해 기본적인 정보 자동 수확을 행함과 함께 송달확인기능을 준비하는 것으로 정보의 신속·확실화를 추구하고 있다. 또 일반사무용 WING 네트워크와 연계를 행함으로 방화벽의 설치 등으로 보안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계통운용부문이외의 제공이 제한되어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액세스권관리기능으로 엄밀한 정보관리를 행하고 있다.2. 사고·정전관리 시스템사고·정전관리 시스템은 배전게통의 사고정보를 배전부문의 사원에 WING단말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사고가 발생한 경우, 배전자동화 시스템과 배전감시장치의 사고정보를 집계하여, 배전도면·설계작성 시스템(애칭 IMAGE)와 지도정보 플랫폼서버와 연계하여, 정전범위를 지도상에 표시하거나, 정전범위 내에서 고객정보를 표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지도정보의 활용1. 배전업무 네비게이션 시스템(1) 개요화재에 의한 배전설비에 대규모 재해가 생겼을 때, 타영업소·타지점이 복구지원을 행하지만 지상에 불안내한 응원대가 복구작업현장에 신속하게 도달하기 위한 위력을 발휘하지만 배전업무 네비게이션 시스템(이하‘배전네비’라 부른다)이다.(2) 시스템 구성배전네비는 차량유도 시스템, 차량관리 시스템, 순회지원 시스템 3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다(<그림 3>).(ⅰ) 차량유도 시스템차량유도 시스템은 배전부문의 차량에 탑재한 카네비게이션의 화면에 당사관내의 배전계통도와 전주번호를 표시하는 시스템이다(<그림 4>).

(ⅱ) 차량관리 시스템차량관리 시스템은 영업소의 단말에 각차량의 현재위치와 작업내용을 표시함과 함께 (<그림 5>), 차량유도 시스템에 대해 사고정보와 작업의뢰를 배신하는 시스템이다.(ⅲ) 순회지원 시스템순회지원 시스템은 PDA를 이용하여 옥외에서 설비정보와 설비의 이용율 등을 자동편집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3) 주된 기능(ⅰ) 차량유도배전부문의 사원에는 데이터 기록매체 겸 차량유도 시스템의 기동키인 SD메모리 카드가 배포되어 있고, 미리 영업고의 단말의 순회지원 시스템에서 작업등록을 행해 PDA를 끼고 SD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 작업등록된 SD메모리 카드를 사용해 차량 유도 시스템을 기동 시키면 화면에 작업 리스트가 표시되어 목적의 작업을 선택함에 따라 목적지까지 유도가 개시된다.(ⅱ) 차량위치표시·작업표시각차량의 위치와 작업내용 등의 정보는 무선통신망을 사용하여 일정간격으로 차량관리 시스템에 송신되어 영업소의 단말을 사용해 차량의 위치를 작업내용이 파악할 수 있다.고객으로부터 급한 신청이 있을 경우 최적의 차량을 선택하여 작업내용을 송신함으로 차량유도 시스템에는 수신 메시지가 표시됨과 함께 작업 리스트에 데이터가 추가되어 작업지시를 할 수 있다.(ⅲ) 정전범위의 표시고압배전선에 정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차량관리 시스템의 지도화면상에 정전범위를 표시함과 함께 각 차량에는 사고정보에 덧붙여 사고의 종류와 차량위치에서 차량관리 시스템이 계산한 추장목적지가 자동적으로 배신된다. 담당자가‘유도’를 터치하면, 카네비게이션의 지도화면의 정전범위의 표시와 빈번한 데이터 송신을 행할 긴급 모드로 바뀐다.(4) 특징배전네비는 당사의 고압응급전원차 등의 특수차량을 시작으로 배전일반차량의 전 1362대에 배비했다. 특히 니가타현 츄에츠 지진과 태풍재해 때에는 지리에 불안내한 복구응원대의 유도가 적확히 행해져, 현지안내요원을 복구작업에 충당할 수 있는 등 효과가 나타났다. 또 현지에서 설비정보 등의 정보를 요구·취득할 수 있게 됨으로 급한 작업대응에서도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사외에서 고객 정보를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누설에도 배려하고, SD메모리 카드의 암호화와 다중 패스워드 설정 등의 방지대책을 취하고 있다.2. 그 밖의 지도정보활용지도정보에 대해서는 배전 네비 외에 2항에서 말한 사고·정전관리 시스템과 이미지 시스템 등에서도 활용하고 있다. 당사는 지도정보 플랫폼을 정비하고, 앞으로 순시지원 시스템 등의 활용을 예정하고 있다.비상재해시 화상전송1. 비상재해대책용 화상전송 시스템(1) 개요비상재해 등의 발생시에 본점과 지점에 설치하는 비상재해대책본부에는 각소의 직통전화(핫라인)와 TV회의 시스템, 정보를 집약하는 OA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지만 덧붙여 재해개소의 영상시청의 니즈가 높아지기 때문에 비상재해대책용 화상전송 시스템의 구축에 대해서 검토를 한다.(2) 시스템 구성본 시스템의 구성을 <그림 6>에 나타낸다. 본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영상은 재해현장에서 라이브영상과 현지의 영상을 비디오카메라에 촬영하여 가장 가까운 사업소에서 송신하는 축적영상 2종류이다. 어느 영상도 본점에 배치하는 화상축적 서버에 축적되어, WING단말에서 시청이 가능하다. 송신사업소와 시청사업소에는 WING네트워크를 이용하고, 재해현장에서 라이브 영상의 전송에는 휴대전화회선과 통신위성회선을 이용한다.

(3) 앞으로 예정2005년도에 실증시험을 행하는 유효성이 확인된 것으로 2006년도 도입을 예정하고 있다.2. 이동형 간이 ITV기술센터 등의 감시·보수 개소에서 발변전소의 현지상황파악과 현지업무기술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반이 가능한 여러 통신방식에 대응 가능한 이동형 간이 ITV의 개발·도입도 행하고 있다(<그림 7>).결론IT는 당사에도 일상의 업무효율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비상재해시의 복구지원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 고도화한 IT를 활용하여 재해대책 시스템 등의 충실을 도모해 가고 싶다.

<Energy News>
http://www.energy.co.kr

서울마포구 성산로 124, 6층(성산동,덕성빌딩)
TEL : 02-323-3162~5  |  FAX : 02-322-8386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마포 라001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마포 통신 제 180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강창대 팀장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네이버 포스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정기구독센터  |  사업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네이버 포스트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