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나침반》 미래 핵심기술 확보, 연구성과 현장 확산
2023-02-14
미래 핵심기술 확보, 연구성과 현장 확산
2023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미래 핵심기술을 선점하고, 연구성과의 현장 확산을 위해 2023년 6조 6,726억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했다. 1월 25일 2023년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공고했다.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은 나노기술과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분야 과기정통부 대표 연구개발사업이다. 미래 신시장 및 신산업을 창출하고 주력산업 고도화를 견인할 세계 수준 원천기술을 확보의 연구기반을 확충하고 우수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소개한다.

정리 편집부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첨단바이오·탄소중립·디지털 미래 핵심 분야 혁신기술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사업 종합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총 6조 6,726억원을 투자하는 ‘2023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 분야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예산 5조 2,418억 원, 정보통신방송기술(ICT) 분야 연구개발 예산 1조 4,308억원을 대상으로 하며, 지원 예산은 전년(6조 4,161억원)대비 약 3.9% 증가하였다.

과기정통부는 2022년에는 연구개발사업에 총 6.4조원을 투자하였으며, 어려운 대내·외 상황 속에서도 다양한 성과를 달성하였다. 우선, 핌(PIM) 인공지능 반도체,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을 신규로 착수하였다. 국내에서 독자개발한 발사체인 ‘누리호’2차 발사를 성공하고, ‘다누리호’를 달 궤도에 진입시켜 우주탐사 역량을 확보하였다. 또한,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을 위한 실행계획(Action plan)인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2026년까지 총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개발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등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다양한 정책도 수립하였다.

올해에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핵심기술을 선점하고, 과학 및 정보통신 기술의 현장 확산을 위해 3대 분야 10대 중점투자방향을 설정하여 총 6조 6,726억원을 지원한다.

미래 핵심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투자 강화
시스템 반도체, 첨단 바이오 등 전략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하고, 인공지능 및 5·6세대 이동통신 등 디지털 혁신기술 개발과 디지털 혁신기술의 경제·사회 융합 및 확산을 중점 지원한다. 또한 누리호 3차 발사와 다목적 실용위성 7호 발사를 성공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지원한다. [표 1]
연구 기반 및 역량 강화
기초연구는 국가 필수전략기술 분야 ‘혁신연구센터(IRC)’를 신규 추진하고 젊은 연구자의 안정적인 연구를 지원하는 ‘한우물파기 기초연구’를 신설하여 자율성과 전략성을 겸비한 기초연구로 도약한다. 반도체·우주·인공지능 등 국가 전략기술 분야 핵심 인재 양성도 병행한다. 초고성능컴퓨팅 6호기, 저전력 화합물 반도체 개발 위탁생산 구축 등 연구에 핵심적인 기반 확충을 위한 투자도 확대한다. [표 2]
현장으로 과학 및 정보통신기술을 확산하기 위한 지원 확대
태양전지, 탄소 자원화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을 고도화 하고, 지역 주도의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메가프로젝트를 신규 추진한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 연구개발도 강화할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정보통신기술 융합 디지털포용기술개발을 추진하며, 고층건물 화재 진압기술 등 현장의 수요와 연계한 재난대응 연구개발을 신규 추진한다. 또한 시장수요에 기반한 정보통신기술 기업의 신제품ㆍ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유망 정보통신기술 새싹기업 성장 지원 등을 통해 디지털 혁신기업 육성을 지원할 예정이다. [표 3]
연구개발 절차 개선
과학기술분야는 대형 연구시설 사업 추진 검토를 정례화하여 기획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한다. 반기별(3월, 9월)로 지역 및 연구기관의 대형 연구시설 구축 수요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획 및 신규사업 추진 여부를 검토한다. 또한 미래유망기술분야 기획 수요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기획 전문위원 활용을 확대한다.

정보통신분야는 연구개발 성과가 신속한 민간투자·실용화로 이어지도록 과제기획 단계에서 시장수요조사(기업, 공공기관 등) 절차를 신설한다. 또한 기획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획위원 선정위원회를 통해 기획위원을 선발하며,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을 구성하여 평가의 전문성 및 공정성을 강화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 사업·과제별 추진일정을 1월 2일자로 공고하였으며, 온·오프라인 동시 생중계로 진행되는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설명회(1.3)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이번 연구개발사업 종합심의위원회에서 과학기술 분야는 연구개발의 도전·혁신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고도화 방향을 제시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간의 추격형에서 벗어나 과학기술 혁신을 선도하며, 나눠주기식의 연구개발에서 수월성을 제고하여 신기술 개발 및 신시장 창출의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방향들이 논의되었다. 이번에 제시된 주요 추진방향으로는 첫째, 한계에 도전하는 연구개발 사업을 전면화 한다. 대한민국의 10년~20년 뒤를 책임 질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고위험·고부가가치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둘째, 핵심 전략기술을 집중 개발한다.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6개 핵심 전략기술과 이들 기술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1개 기반기술을 선별하여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2023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분야별 예산 현황
초일류 인재확보를 위한 성장 지원과 제도 개선 
세계적 수준의 석학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자의 성장을 지원하고, 해외 우수연구자 유치를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넷째, 연구성과의 폭발적 확산(Impact)을 집중 지원한다. 연구성과가 지역, 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혁신 생태계를 전략화 한다. 다섯째,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연구관리 및 평가 제도를 개선해 나간다.과기정통부는 이번 종합심의위원회를 시작으로 정책방향에 대한 연구현장 의견수렴을 계속해나갈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추진 과제 등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 기반 및 역량 강화 
자율성과 전략성을 겸비한 기초연구로 질적 도약을 위한 국가필수전략기술 관련 대학의 연구역량 축적 및 인력양성을 지원한다. 연구자가 한 분야에 도전적인 연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미래를 선도하는 핵심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한다. 우주·양자·인공지능 반도체 등 국가 전략기술분야 핵심인력 양성 지원을 중점적으로 한다.2) 해외 우수연구자 초청·활용 등 유연한 인재 유입환경을 마련한다. 여성과학기술인을 지원하고 지역산업 맞춤형 특화된 인재를 양성하며 확대해 나간다. 마지막으로 핵심 연구기반 확충, 전략적 국제협력 등 기반을 강화한다. 초고성능컴퓨팅 6호기 등 첨단 연구개발을 위한 핵심 기반을 확충한다. 가상 모형을 기반한 시험장을 구축하고 정보통신기술 융합 서비스 기반을 조성한다. 기술패권 시대, 첨단기술 분야 전략적 국제협력 및 개발원조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 인공지능, 인공지능반도체, 5·6세대 이동통신, 양자, 확장가상세계 등 디지털 혁신기술 투자(2023년 8,059억 원)
2) 양자(2023년 45명), 우주(2023년 530명), 인공지능반도체(2023년 360명) 데이터사이언스(2023년 260명), 무인이동체(2023년 60명), 감염병(2023년 200명) 등

<Energy News>
http://www.energy.co.kr

서울마포구 성산로 124, 6층(성산동,덕성빌딩)
TEL : 02-323-3162~5  |  FAX : 02-322-8386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마포 라001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마포 통신 제 180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강창대 팀장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네이버 포스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정기구독센터  |  사업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네이버 포스트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