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등록 RSS 2.0
장바구니 주문내역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home
기사 분류 > 전체 기사
[ 36 / 841 ] 목록보기 | 그림보기
 
【신제품】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듀얼 200mA 연산 증폭기로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듀얼 200mA 연산 증폭기로전력소모 많은 산업 및 자동차 부하 구동 지원다양한 전자 애플리케이션과 고객들을 지원하는 세계적인 반도체 회사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2022년 8월 1일, 듀얼 고출력 증폭기 TSB582를 출시해,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첨단 조향장치(SbW: Steerby Wire) 및 자동주차 같은 자동차 시스템...
 
【신제품】 LS전선, 정전과 화재를 예방하는 케이블 시스템‘ 아이체크’출시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LS전선, 정전과 화재를 예방하는 케이블 시스템‘ 아이체크’출시IoT 활용한 케이블 원격관리시스템LS전선은 케이블 원격관리시스템인 아이체크(i-check)를 출시했다. 아이체크는 케이블에 부착된 IoT(사물인터넷) 센서가 발열, 누전 등 이상 상태를 감지, 케이블 이상으로 인한 정전과 화재에 대한 예방이 가능하며, 관리자가 케이블 상태를 웹과 모바일 실시간 점검...
 
【신기술 1 】 전극 표면 기포 털어내는 전극 코팅 기술 개발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전극 표면 기포 털어내는 전극 코팅 기술 개발수화젤 코팅 기술개발…그린 수소 생산 효율성 높여친환경적이고 무한한 자원인 물을 전기에너지를 가해 수소와 산소로 분해해 내는 ‘수전해’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그린 수소 생산 공법으로 꼽힌다. 하지만 그린수소 생산 기술인 수전해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전기 분해 에너지를 줄이는 촉매 개발에 외에...
 
【신기술 2】 태양전지 연구개발 동향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태양전지 연구개발 동향 촉매 개발로 효율성 높인 성과 돋보여국내 태양전지 산업의 전망을 가늠하는 굵직한 연구개발 성과가 발표되었다. 차세대 태양전지인 유기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공정과정에서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유기태양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몰리브덴 산화물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과정에서 고온의 후공정이 필요해 실용화...
 
【신기술 3】 ‘루테튬-177’첫 국산화 대량생산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루테튬-177’첫 국산화 대량생산원자로 ‘하나로’이용해 개발…희소 질환 치료대표적인 희소 질환으로 알려진 신경내분비암과 전립선암 치료 등에는 루테튬-177이 사용된다. 루테튬-177은 진단과 동시에 치료가 가능한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방사성동위원소로 어떤 항체 등과 결합하느냐에 따라 활용 분야가 굉장히 넓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나침판】 국가첨단전략산업법 본격 시행…민·관 협력 적극 추진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가첨단전략산업법 본격 시행…민·관 협력 적극 추진 정부의 반도체 육성 정책 더 많이, 더 먼저 가지는 나라가 패권을 가진다. 이는 반도체를 두고 나온 말이다. 반도체 첨단산업에 대한 국제정세는 기민하게 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주도권을 갖기 위해 각국의 정부와 기업이 공동 대응하는 경쟁체제로 전환되고 있다. 정부는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시행으...
 
【포커스】 탄소중립 관점으로 재편하는 원자력발전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탄소중립 관점으로 재편하는 원자력발전국제경쟁력과 해외 진출을 위한 추진위원회 출범 원자력발전에 대한 국내외 시선들이 바뀌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의회(EU)에서는 원자력발전을 그린 택소노미(Taxonomy), 즉 녹색 분류체계에 포함하기로 의결하기도 했다. 또한 유럽을 중심으로 원전을 확대해 전력난을 해소하고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
 
【HOT ISSUE】 27개 원자 구성의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구조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27개 원자 구성의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구조IBS, 나노클러스터 결정 구조 규명최근 기존의 분자와 벌크 상태의 소재와 달리 수십 개의 원자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만드는 연구가 나노과학 분야에서 활발하다. 새로운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진 클러스터는 기존의 나노 입자보다 매우 작고 정확한 개수의 원자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반도체 클러스터는 다양한 응용이...
 
【이슈현장 2】 기후 위기와 수해에 대비하는 전기 안전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기후 위기와 수해에 대비하는 전기 안전기후 변화-수온 변화 규명…호우 시 안전수칙과 피해 복구올여름 국내 기상 관측 이래 최대 폭우가 발생하면서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했다. 이와 관련 국내 연구진이 남극 앞바다의 기후변화가 ‘태평양 수온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해냈다. 태평양 수온 변화는 전 지구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
 
【이슈현장 1】 전기안전 분야 교육·관리 본격 변화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전기안전 분야 교육·관리 본격 변화교육 내용 및 방식 개선…관리자 선임 기준 완화최근 정부에서는 에너지안전분야 규제혁신에 대한 발표를 비롯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공유하고 조사를 하는 자리를 갖는 등 관련 논의가 여러 방면에서 이뤄져 왔다. 정부는 크게 전기·가스·수소 관련 에너지 분야에 대한 규제혁신 계획을 발표했다. 산업부...
 
【에너지현장】 에너지 전환시대, 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분야 산·학·연 융합의 장 열려   2022년 9월호 지면발행
에너지 전환시대,탄소중립을 위한 다양한 분야 산·학·연 융합의 장 열려에너지 패러다임이 급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구조가 수소경제, 탄소중립으로 재편되면서 재생에너지는 과제를 떠안았다. 안정적인 에너지 보급을 저해하는 지역적 편재성과 시간적 가변성을 해결해야 한다. 정부의 로드맵에 따라 민관이 협력하여 소·부·장 연구개발에 박...
 
【이슈현장 1】 에너지 환경변화에 맞춘 전력신산업 육성방향   2022년 8월호 지면발행
에너지 환경변화에 맞춘 전력신산업 육성방향ICT 기반의 시스템·기술 관련 규제 완화와 지원에너지 환경변화에 따라 탄소중립의 중요성은 매회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다.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탄소중립이 가능하면서도 성장할 수 있는 전력신산업이 중요한 때이다. 신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육성을 위해 정부에서도 관련 정책과 지원에 대한 끊임없는 논...
< 21~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50 >
핫뉴스 (5,379)
신제품 (1,769)
전기기술 (946)
특집/기획 (944)
전시회탐방/에너지현장 (349)
업체탐방 (277)
자격증 시험대비 (255)
전기인 (146)
목차 (17)
과월호 보기:
서울마포구 성산로 124, 6층(성산동,덕성빌딩)
TEL : 02-323-3162~5  |  FAX : 02-322-8386
정기간행물등록번호 : 마포 라001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마포 통신 제 180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강창대 팀장 (02-322-1201)

COPYRIGHT 2013 JEONWOO PUBLISHING Corp.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네이버 포스
회사소개  |  매체소개  |  정기구독센터  |  사업제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네이버 포스트  |  ⓒ 전우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