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마켓] 독일 TUV SUD, PtG 기술의 상업화 전망 발표 | |
2019-06-01 | |
![]() 독일 TUV SUD, PtG 기술의 상업화 전망 발표
PtG 성숙 단계 접어들고 상용 응용 점차 늘어 독일의 대표적인 시험인증기관 TUV SUD가 최근 루트비히 뵐코 시스템테크니크(LBST)와 함께 에너지저장기술(Power-to-Gas, PtG)의 상업화 전망을 발표했다. 독일의 신재생에너지 연구기관 LBST의 PtG 데이터베이스 평가에 따르면, PtG 에너지 저장기술이 성숙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상용 응용이 점차 늘고 있다. 또한 독일 전역에서 총 전기 용량이 55MW 이상인 PtG 플랜트가 50개 이상 가동 중이거나 가동 예정이며, 수백 MW 규모의 추가 대형 프로젝트가 이미 발표됐다. 독일에서는 이미 전력의 1/3 이상이 신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생성되며, 그 중 절반 이상이 풍력 및 태양광의 불규칙적인 발전(intermittent generation)으로부터 발생한다. 이처럼 신재생에너지 발전 점유율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유연한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기 에너지 저장법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PtG 기술은 전기를 기체 에너지 운반체인 수소(PtH2) 또는 메탄(PtCH4)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적합한 합성 공정을 적용하면 액화 연료로의 전환(Power-to-Liquid, PtL)도 가능하다. 재생 전기 사용 시 생성되는 화학 에너지 저장체는 사실상 배기가스 배출이 없다. 이러한 기술은 전기, 가스, 교통 분야의 상호연관성 및 에너지 장기간 저장 용이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가능한 합성 에너지 저장체의 다양성을 통해, PtX 기술은 변환공정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여러 가지 중 가장 일반적인 PtX 기술은 첫 단계로 수전해(물전기분해) 기술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다. LBST는 2011년부터 PtX 프로젝트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 세계 180개 이상의 활동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있다. 초기에는 연구 목적으로 전기분해 용량이 kW 수준인 소규모 시스템만 운영됐지만, 오늘날에는 수 MW 수준의 전력 프로젝트가 수행되고 있으며 대규모 발전소 프로젝트로 계획 단계에 있다. 현재 독일에서는 연구, 개발, 사용가동 목적으로 PtX 기술을 운영하는 프로젝트가 50개를 넘는다. LBST는 설치된 전기 분해 용량 50kW 이상, 가동 또는 계획 단계인 35개 발전소를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PtX 프로젝트 수는 뚜렷하게 증가했으며 2022년까지 35개의 발전소가 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PtX 발전소의 총 설치 전력은 26MW이며 2014년 이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이른바 고분자 전해질(PEM: Polymer Electrolyte Membrane)을 사용하는데, 기존의 알칼라인 전기분해 기술에 비해 부하변동에 대한 유연성이 좋다. PtL(Power-to-Liquid) 공정에 적합한 고온 전기분해 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는 주로 독일 외 국가에 계획돼 있다. 독일 프로젝트에서 주목할 점은 생산한 수소를 추가로 다른 에너지 운반체로 처리하지 않고 이용하는 방식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제소의 공급 원료 또는 차량 원료로서 친환경 수소 사용이 늘고 있다. ![]() ![]() < Energy News > |
|
-
2019 대한민국 전기안전대상 성황리에 개최
2019 대한민국 전기안전대상 성황리에 개최은탑산업훈장 등 전기안전 유공자 정부 훈·포장‘2019 대한민국 전기안전대상’이 5월 21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산
2019-06-01 -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창립 10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창립 10주년 기념식 개최 지식산업화, 산업지속화, 동반성장화, 열림협력화 핵심가치 제시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 융복합의 핵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란 기존의 전력망에
2019-06-01 -
소형을 넘어 초소형 원자로에 도전한다
소형을 넘어 초소형 원자로에 도전한다안전성과 경제성을 갖는 실용적 원자로소형원자로 개발은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도 앞서 있는 분야 가운데 하나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SMART’라는 소형
2019-06-01 -
[Zoom In]애 타는 ESS 산업계
애 타는 ESS 산업계정부 “6월 중 조사결과 발표”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5월 2일 언론을 대상으로 가진 ESS 화재사고 관련 백브리핑으로 그간의 불만이 여러 언론을 통해 쏟아지고 있다. 지난 4월
2019-06-01 -
[글로벌마켓] 에너지경제硏, OECD 신재생 증가세 뚜렷 발표
에너지경제硏, OECD신재생 증가세 뚜렷 발표천연가스·재생에너지 비중 석탄 발전 앞질러지난해OECD국가의 천연가스와 재생에너지 비중은 증가하고 석탄 발전 비중은 감소해 우리나라의 에너지전환 정책이 세계
2019-06-01
-
뉴 스페이스 시장 위한 고밀도 전력 솔루션
뉴 스페이스 시장 위한 고밀도 전력 솔루션20배에 달하는 전력 요건…크기, 무게도 획기적으로 줄여야광대역 이동통신 서비스는 많은 궤도 위성을 사용하는 위성군(constellation)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며,
2022-06-01 -
【핫뉴스】대한전기협회, 2021 KEPIC-Week 개최
대한전기협회, 2021 KEPIC-Week개최10월26~29일 강원 정선에서 신사업 정보 교류대한전기협회(회장 정승일)가10월26일부터29일까지 나흘간 강원도 정선 하이원 그랜드호텔(컨벤션타워)에서‘2021케픽위크(KEPIC
2021-10-14 -
[핫이슈]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발표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발표2034년까지 RPS 40%, 신재생에너지 26% 확대한국이 오는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26%로 늘린다. 2019년보다 4배 높아지는 수치다. 또한 보급목표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
2021-02-01 -
[나침반]2021년부터 새로 시행되는 제도
2021년부터 새로 시행되는 제도기업의 국제 경쟁력 높여줄 KEC, K-RE100 등〈한국전기설비규정〉이 올해부터 적용된다. 그러나 산업부는 산업계의 적응기간 고려, 현행 판단기준을 1년간 병행하여 운영한다고 밝혔다
2021-02-01 -
[신제품] 맥심, 초소형 태양광 충전 솔루션 출시
맥심, 초소형 태양광 충전 솔루션 출시크기는 절반으로, 충전 효율성은 높게맥심 인터그레이티드(maxim integrated)가 MM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기능을 탑재한 단일·다중 셀 태양광 충전기
202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