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필룩스 조명박물관 | |
2011-07-05 | |
![]()
![]() 조명 예술작품을 관람할 수 있는 '조명아트관'을 지나 지하 1층으로 내려가면 '감성조명체험관'이 기다린다. 자연 빛에 가까운 조명 환경을 집과 병원, 학교 등의 생활공간에서 체험하도록 조성했다. 이곳에서 관람객은 직접 스위치 설정을 바꿔가며 사람의 기분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조명이 어떻게 바뀌는지 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1] 심지꽂이 뚜껑이 있는 목이 긴 등잔으로, 주로 책을 읽을 때 사용해 '서등'이라 명명했다. [2] 희귀한 마차등. [3] 라이트 테라피Light Therapy는 인공 조명이나 자연광을 이용하는 빛 치료로, 우울증과 수면 장애 등에 안전하게 사용되는 자연 치료법이다. 조명의 진화, 감성 조명 막무가내로 울며 떼쓰는 아이, 뜻대로 되지 않는 일엔 욕설과 주먹이 먼저인 아이, 절대로 밥을 먹지않는 아이 등 상상을 초월한 말썽꾸러기들이 등장하는 한 TV 프로그램이 있다. 몇 년 전 소개된 사연 속 아이는 잠 때문에 고생이었다. 당시 전문의는 엄마에게 아이와 함께 하루 1~2시간을 밖에서 보내라고 조언했다. 밤마다 잠투정이 심했던 아이는 개선 첫째 날 만에 엄마가 동화책 읽어주는 소리를 자장가 삼아 새근새근 잠이 들었다. 방송 이래 최단기간을 기록한 변화였다. 적정량의 태양빛 노출이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생성해 불면증 해소에 도움을 준 것이었다. 이처럼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조명과 달리, 태양빛은 만물의 생명 유지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명아트관'에서 만난 빛과 조명을 활용한 예술작품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대인들은 태양빛보다 인공조명 아래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감성 조명'이다. 다른 업체보다 한발 앞서 이 분야의 연구 개발을 시작한 필룩스는 "단순히 스위치를 끄고 켜는 것이 일반 조명이라면, 감성 조명은 자연 조명인 태양빛의 변화를 실내에 구현하고 조명의 밝기와 색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해 사람의 감성을 편안하게 하는 조명을 말한다"라고 설명한다. 조명의 진화를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 [1] 2010 빛공해사진공모전 최우수상(김선희, 축제의 불빛) [2] 우수상(최상식, 빛의 매트릭스) [3] 장려상(장현정, 만물이 소생하는 봄빛) [4] 장려상(서경석, 무제) 빛 공해를 아십니까? 지난해 국립환경과학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여름 밤 매미 울음소리가 도로변 자동차 주행 소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에 매미가 우는 지점의 가로등 조도를 측정한 결과, 153~212lx였다. 매미가 울지 않는 지점(52.7~123lx)과 비교해 상당히 밝음을 알 수 있다. 비단 매미뿐만이 아니다. 거리의 화려한 네온사인으로 불면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철새들은 이동 경로를 상실했으며, 여러 생태계 교란 현상도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불필요하거나 필요 이상의 조명빛이 인체나 자연 환경에 피해를 주는 현상을 '빛 공해'라고 한다.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이러한 빛 공해를 이미 법률과 가이드라인 등으로 관리 중이며, 지난 해 7월에는 서울시가 지자체 중 처음으로 '빛 공해 방지 및 도시조명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공포한 바 있다. 노시청 관장은 "빛 공해는 빛이 나빠서 생기는 공해가 아니라 빛을 나쁘게 사용하기에 생기는 신종환경 공해다"라고 말한다. 조명박물관에서는 생태계 전체를 위협하는 '빛 공해'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고취시키고자 매년 6월 5일 환경의 날을 기념해 '빛공해사진공모전'을 개최한다. 올해 수상작은 6월 13일부터 8월 31일까지 조명박물관에서 만나 볼 수 있다. 화려함을 추구하며 무작정 앞만 보고 달려온 빛의 세계. 그러나 이제 이 세계가 추구해야 할 길은 분명하다. 인류와 자연의 상생을 꾀하고 보다 건강한 빛으로 나아가는 것. 그러한 움직임의 선두에 조명박물관이 있다. 글 · 사진 전화영 기자 취재 협조 조명박물관 (070)7780-8911 www.lighting-museum.com ![]() ![]() < Energy News > |
|
-
[지상중계] 전기산업진흥회 · 전기공업협동조합 · 전선공업협동조합 _ 전기 제조업 3단체, 해외 마케팅 사업 공동 추진
전기 분야 제조업 리딩 단체인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장세창),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광), 한국전선공업협동조합(이사장 박석모)이 5월 20일 한국전기산업진흥회 대회의실에서 해외
2011-07-04 -
최첨단 융합 기술의 바람이 불다, 제주 스마트 그리드 실증단지
제주 북동부에 위치한 한적하고 전형적인 농촌 구좌읍.이곳에 대한민국의 최신 · 최첨단 기술이 집결했다.2030년 세계 최초의 국가 단위 스마트 그리드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제주 구좌읍이 실증
2011-06-20 -
Carbon Free Island의 첨병, 남제주화력발전소 _ 한경 · 성산풍력발전단지
제주 남단 해안 일주도로를 달리면 풍력발전기들을 심심찮게 만난다. 마치 세 갈래로 곱게 땋은 머리를 바닷바람에 나풀대며 군무를 펼치는 듯하다. 삼다三多의 섬 제주에서 바람은 예전에 천덕꾸
2011-05-16 -
전력 생산, 홍수 조절, 용수 공급을 동시에 팔당수력발전소
사람의 약 70%, 어류의 약 80%, 물속 미생물의 약 95%. 이 수치들이 가리키는 바는 무엇일까? 정답은 바로 각각의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의 비율이다. 물이 없는 환경에서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
2011-04-21 -
서울화력발전소, 전력 100년사의 살아있는 역사를 돌아보다
"밤 깊은 마포종점 갈 곳 없는 밤 전차~♪♬"로 시작하는 은방울자매의 <마포종점>에는 이런 노랫말이 나온다— 저 멀리 당인리에 발전소도 잠든 밤. 1968년에 발표한 이 노래에 등장하는
2011-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