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업계, 올해투자3.9조원, 수출 46억 달러 전망 / 산업계, 정부, 공공기관 등 국가 전체 투자액은 5.5조 원
2010-04-02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는 2월 3일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 오키드룸에서 이명규, 김용구 국회의원, 정지택 신재생에너지협회장(두산중공업 부회장)을 비롯한 업계, 학계, 언론계 등 대표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업계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신재생에너지업계는 2010년 한 해 동안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설비 증설 및 R&D 등에 작년 24,558억 원에 비해 57.9% 증가한 38,971억 원을 투자하고, 해외 수출은 작년 24.3억 달러 대비 90.2%가 증가한 46.2억 달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재생에너지협회는 2월 3일 서울그랜드인터컨티넨털호텔에서 최경환 지식경제부장관과 간담회 및 신년인사회를 갖는 자리에서 '2010년도 신재생에너지산업의 투자, 수출 실적 및 계획'을 통해 위와 같이 밝혔다.
신재생에너지업계 외에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공기관(RPA 기관)의 투자 계획까지 합한 국가 전체의 올해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액은 작년도 35,924억 원 대비 52% 증가한 54,655억 원(지경부 8,083억 원, 지방정부 1,309억 원, 공공기관 6,472억 원, 산업계38,791억 원)으로 전망된다.
이번 간담회에서 업계는 투자 확대의 애로사항으로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법안의 조속한 확정을 촉구했으며, 국산 개발제품에 대한 초기시장창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수출 확대를 위해 해상풍력의 Track Record 확보를 위한 실증단지 건설, 수출 금융의 지원 확대, 해외 판로 개척 지원,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부품소재 및 장비 국산화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요청했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최경환 지식경제부장관은 "올해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과 수출산업화의 원년이 되도록 총력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10년에는 산업육성 가속화, 수출산업화 촉진, 선진인프라 구축 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9가지 세부전략을 추진 할 계획이다.
'산업육성 가속화'를 위해서는 우선 기술 및 산업기반이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원(源)별로 구체적이고 종합적이면서 차별화된 산업발전 전략을 수립 · 추진한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R&D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R&D 혁신을 통한 투자효율성 제고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인력, 금융, 세제 부문에서는 산업육성에 필요한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해 산업화 촉진을 총력 지원한다.
'수출산업화 촉진'은 우선 원별 전략 지역 · 국가별 해외시장진출 환경을 분석, 종합적인 전략적 해외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해 업계의 해외시장진출을 가속화시킨다는 전략이다. 그리고 업계의 수출 애로사항 해결 및 해외 마케팅 지원을 위해 KOTRA, 협회, 수출금융기관, 정부 등이 참여하는 '수출지원협의회'를 운영 할 계획이다. 또한 거대시장으로 부상 할 해상풍력개발을 선점하기 위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조성, 기술 개발 · 제도개선 · 계통연계 등을 포괄한 '해상풍력 개발 로드맵'을 수립해 해상풍력의 Track Record 확보 및 수출산업화를 적극지원하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업계 신년인사회'에 앞서 최경환 지식경제부장관, 정지택 신재생에너지협회장, 민계식 태양광산업협회장(현대중공업 부회장),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 김두훈 유니슨 대표, 양웅철 현대자동차 사장, 조환익 KOTRA사장, 이태용 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 이준현 에너지기술평가원장, 정태윤 수출보험공사 부사장과 업계대표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재생에너지업계 간담회'를 갖고, 2010년도 신재생에너지 주요 정책방향과 업계의 투자 및 수출 계획 등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선진인프라 구축'은 기업의 조속한 투자환경 조성과 최소한의 준비기간부여를 위해 'RPS 도입법령정비를 조속히 완료'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양적 보급 확대에만 치우친 데 반해 보급 투자의 효율성 제고와 사후관리의 강화를 위해 보급사업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보급제도 개선 및 사후관리 강화'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선진국 수준의 정책 지원 기반 마련을 위해서 국제기준(IEA) 및 선진국가와 상이한 신재생에너지 기준 · 범위를 재정립하고 신재생에너지 통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수송용 연료에 바이오연료 혼합을 의무화하는 RFS(Renewable Fuel Standard) 도입방안을 2010년 중 마련하고, 중소기업이 애로를 겪고 있는 기술 · 제품의 Test-bed기반을 전략거점에 구축 할 계획이다.

_백종윤 기자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031)266-1491 / www.knrea.or.kr>

트윗터 페이스북

< Energy 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