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식에 앞서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는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 스마트 그리드 실증단지 성공적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
5월 21일 창립 1주년을 맞은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가 18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기념식을 열고, 2020년까지 스마트그리드 글로벌허브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을 선포했다. 한국 스마트그리드협회는 창립 1주년을 맞아 지난 1년간 추진해온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10년 동안 추진할 마스터플랜을 담은 '비전2020'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정관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정책 실장, 황인평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박종근 대한전기학회장, 이준현 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 김재섭 스마트그리드사업단 단장, 최광주 전력기술인협회 회장 등 정부, 학계, 산업계 관련 인사 120여 명이 참석했다. 구자균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회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창립 초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큰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스마트그리드가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라는 인식을 갖고 다방면에서 지원한 정부, 기업, 학계, 단체 관계자들이 있기에 가능했다"며, "협회는 앞으로 우리나라가 스마트그리드 선도국가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하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2009년 5월 21일 설립당시 19개에 불과했던 회원사가 1년 만에 111개사로 늘어나 5배이상 증가, 명실상부한 대한민국대표 스마트그리드 단체로 성장했다. 현재 회원사는 전력과 중전기기, 전자, 정보 · 통신 및 IT, 자동차 및 저장장치 등 다양한 분야 기업들로 분포되어 있다. 대외적으로 글로벌 위상 강화에 노력해 2010년 2월 개최된 월드스마트그리드포럼(World Smart Grid Forum)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세계적으로 한국을 스마트그리드 선도국가로 각인시키는 데 기여했다. 나아가 2010년 11월 개최예정인 G20 정상회의와 연계해 실증단지 홍보관 준공을 기점으로 'Korea Smart Grid Week'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국가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위한 표준개발과 국제표준 제안에도 앞장서고 있다. 2015년까지 산 · 학 · 연 · 관 300여 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을 추진, 표준화 로드맵 작성, 국제 표준 전문가 양성, 국제 표준화 활동 지원체계 등을 구축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 완성에 필요한 정보통신 분야 표준화 관련 스마트그리드 정보통신융합포럼은 별도로 구성 · 운영된다.
국제 협력을 위해 미국 일리노이주와는 스마트그리드 시범도시 공동 구축, 공동 기술 개발과 실증, 정책 교류와 인력 양성 등 공동협력 분야에 대한 실증단지 컨소시엄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은 성과들을 바탕으로 협회는 스마트그리드 글로벌 허브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2020'을 발표했다. 현재 111개인 회원사를 2015년 500개사, 2020년 1,000개사로 확대하는 동시에, 내부 조직 역시 스마트그리드 전체를 아우를 수 있도록 1국 2실(14명)에서 연구 · 교육센터를 포함한 1국 5본부체제(120명)로 개편한다. 표준화 부문에서는 국가 스마트그리드 표준 개발 협력기관 지정을 추진하는 한편, 국내 표준을 완성하고 국제 표준 100종 제안을 채택할 예정이다. 국제협력측면에서는 2010년국제스마트그리드 연합회를 출범하고, 2016년 무렵에는 의장국으로 활동하겠다는 복안이다. 2011년 호주와 북아일랜드,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등 5개국을 시작으로 세계 50개국과 MOU를 체결하는 한편, 국제 스마트그리드포럼 Top 3 위상을 확보키로 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그리드 전문연구소를 설립해 최고수준의 연구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스마트그리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센터도 설립, 연간 1,000명의 전문가를 배출하는 기관으로 육성시킨다는 방침이다. 한편 협회는 이날 기념식에서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측은 대표 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성공적인 실증단지구축을 위한 지원과 협력을 약속했다.
글_백종윤 기자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02)6002-4912 / www.k-smartgrid.org>
<Energy News>
http://www.energy.co.kr
|